얼(뿌리를 찾아서)/국학(國學) 자료

훈민정음 서문

양해천 2017. 12. 4. 11:04

훈민정음서문

자료출처 : http://cafe.daum.net/hanjungil.net/Qlch/8 http://cafe.daum.net/hanjungil.net/Qlch/9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의 역사가 왜곡되었다고 말하고 있지만, 정작 강단학계는 아예 역사왜곡이라는 단어 자체를 모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나라의 역사왜곡에 있어서, 대부분 고대사의 왜곡을 말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백 년 전의 일도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이 하나도 없다. 아니, 모른다는 것을 모르고 있으니 역사회복은 머나먼 꿈나라의 일이다. 역사를 왜곡하는 방법에는 있는 것을 없애거나 감추는 것, 없는 것을 있는 것처럼 만드는 것, 있는 것을 말하지 않는 것 등이 있다. 그런데, 그러한 방법 말고도 역사를 왜곡하는 방법이 또 하나 있으니, 그것은 바로 잘못된 해석이다. 해석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역사 전체가 완전히 바뀌어 버린다. 잘못된 해석은 지엽적인 부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현재, 제대로 된 역사를 찾고자하는 열망이 강단학계에 의해 모욕당하고 있지만, 남아있는 자료의 해석만 제대로 했어도 환빠라는 단어가 생기지는 않았을 것이다. 훈민정음서문이나 최만리 등의 상소문만 제대로 해석해도, 우리나라의 역사회복은 꿈이 아닌 현실이 될 것이다.

그동안 근 백년이 넘게, 훈민정음의 목적이나 정체성 등에 대해 수많은 연구와 논문들이 있었다. 그리고, 요즘은 인터넷 시대라 누구나 쉽게 자료를 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만들 수가 있어서인지, 별의 별 희한한 이야기들이 떠돌고 있다. 심지어는 훈민정음서문이 변조되었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이는 다 학자들의 책임이다. 그들이 자신의 본분을 다하고 있지 않아 일어나는 일이다. 이에, 필자도 시대의 조류에 휩쓸려 보고자 한다. 다만, 별 희한하다는 말은 듣지 않도록 하고 싶다.

훈민정음의 목적이나 정체성을 알려면, 당연히 훈민정음의 서문을 가장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최만리 등의 상소문’이 그 두 번째가 될 것이다. 그런 다음에 당시의 정황 등을 살피는 것이 순서라고 생각한다. 이에, 훈민정음 서문을 살펴보기로 한다. 서문을 해석함에 있어 정황이나 역사적 지식 등은 철저히 배제한다. 단지 마지막 과정으로써, 해석이 정말로 올바른지 확인 차 살펴볼 뿐이다. 무엇 보다 원문에 충실하고 의역이나 추정은 삼가며, 원문 해석에 의해 역사적 해석을 시도한다. 기존의 역사적 지식이나 편견 등이 원문 해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 그것이 가장 중요하다 할 것이다. 혹자는, ‘정인지의 후서後序’를 근거로 하여 훈민정음의 목적이나 정체성을 논하지만, 정인지의 서문을 올바르게 이해하려면 상소문을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정인지의 서문은 상소문과 대구對句를 이루고 있는데 곧, 상소문에 대한 반박문反駁文이라 할 수 있다.

중세국어임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한국인이 한국어를 해석한다는 지금 상황이 매우 우스꽝스럽지 않을 수 없다. 사실,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이라면 모를까, 언해된 서문을 알아듣지 못할 수가 없다. 다시 말해서, 필자가 지금 해석하는 것이 틀릴 수가 없다는 말이다. 틀렸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한국어를 할 줄 모르거나 눈 뜬 장님일 것이며, 엉터리 지식으로 머리가 꽉 찬 사람일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렇게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친절하게 하나하나 설명하는 것이 도리일 것이다.

원래, 세종당시에는 훈민정음이 한문본으로 출간되었다. 즉, 언문본諺文本(諺解本)은 후대에 나왔으며 한문본이 진짜 원본이라는 말이다. 이것은 강단학계나 재야학계, 어디를 막론하고 이론이 없다. 또한, 지금까지 발견된 언해본들은 모두 세종 사후에 출간된 것들이다. 한문본과 언해본 둘 다가 보존되어, 해석에 있어 서로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은 실로 하늘의 보살핌이다. 어느 나라 어느 학계를 막론하고 한문을 다룸에 있어, 그 해석에 소음이 끊이지 않는 것에 비하면, 정말로 다행이다.

======================================================
(世宗御製) 訓民正音

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 不相流通(국지어음 이호중국 여문자 불상류통)
나랏 말미 듕귁에 달아 문와로 서르 디 아니쌔
나랏 말소리 듕귁과 달라 문로 더브러 서르 흘러통티 몯논디라

故 愚民 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 多矣(고 우민 유소욕언 이종부득신기정자 다의)
이런 젼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져 홀 배 이셔도 내 제 뜨들 시러 펴디 몯  노미 하니라

予 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 易習 便於日用矣(여 위차민연 신제이십팔자 욕사인인 이습 편어일용의)
내 이 위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짜 맹노니 사마다 해여 수비 니겨 날로 쑤메 뼌안킈 고져  미니라
{언해본 표기에 있어, 편의상 일부 현대적 표기를 하였으나 해석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
======================================================

위의 언해된 서문을 현대어로 나타내면, 대충 이렇게 될 것이다.

[나라의 말씀이 중국에서 다르고 문자로도 서로 잘 맞지 아니 할세
나라의 말소리가 중국과 다르고 문자도 함께 서로 잘 통하지 못 하는지라

이런 까닭으로 어린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실어 펴지 못 하는 놈이 많으니라

내 이를 위하여 예쁘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나니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날로 씀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이것이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듣겠는가? 그냥 들리는 대로 알아들으면 된다. 하지만, 깊게 들어가자고 하면 어려울 수도 있으니 하나하나 살펴보는 수고를 하기로 한다. 먼저,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제목부터 살펴보기로 하겠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책제목이다. 또한, 세종이 행한 정책의 이름이기도 하다. 즉, 세종이 어떤 정책을 펴면서 그것을 책에 담은 것이 훈민정음이라는 말이다. 훈민정음하기 위해 스물여덟 자를 사용한 것이지, 원래 스물여덟 자의 이름이 훈민정음인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28자로 훈민정음하다 보니 28자를 훈민정음이라 부르게 된 것뿐이다. 기존의 학계는 숙고熟考 없이 그냥 멍하니, ‘백성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을 ‘백성에게 가르치는 바른 글자’라고 제 멋대로 오해하여, 28자의 이름이 훈민정음이고 세종이 그 28자를 만들었다고 가르치고 있다. 그러나, 훈민정음은 한자漢字단어이므로 한 자 한 자 고찰해야 한다. 왜냐하면, 한자는 그 글자 하나하나가 고유의 뜻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이자동의異字同義인 경우 함부로 바꿔 써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훈訓과 교敎는 우리말로 ‘가르치다’라는 같은 뜻이지만, 둘은 서로 그 뜻이 엄격히 다르므로, 훈訓을 우리말로 번역할 때 단순히 ‘가르치다’로 해석하여, 교敎와 혼동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

한자에는 많은 이자동의異字同義가 있는데, 생生과 산産, 허虛와 공空, 언言과 어語, 포抛와 기棄, 어語와 화話와 담談, 거去와 반拌과 사捨와 기棄, 아我와 오吾와 여予와 여余 등등 수 없이 많다. 우리가 한문 생활에서 멀어져 몰라서 그렇지, 분명 뜻이 다르고 쓰임도 다르다. 예를 들면, 허虛는 절벽의 위가 비어있는 것을 뜻하며 공空은 절벽의 동굴이 비어있는 것을 의미한다. 책상 위가 비어있는 것은 허虛이며 책상 서랍이 비어있는 것은 공空이 된다. 즉, 밖이 빈 것은 허虛이며 안이 빈 것은 공空이라는 말이다. 당연히, 실제 쓰임에서도 축구공空ball이라 말하지 축구허虛라고 말하지 않는다. 혹자는, 한자漢字를 사용하면서 누가 그렇게 한 자 한 자 일일이 따져가며 사용하겠냐 하겠지만, 어릴 때부터 반복과 체득으로 익힌 한문생활은 큰 불편 없이 이자동의를 잘 구별해서 사용한다. 실제로 우리도, 그 뜻을 숙고하지 않았을 뿐이지 이자동의를 잘 구별하며 살고 있다. 예를 들면, 생일生日이라 하지 산일産日이라 하지 않는다. 산모産母 입장에서는 그런 단어를 만들어 쓸 수도 있겠지만, 산일이라는 단어는 국어사전에 없다.

그럼, 훈訓과 교敎는 어떻게 다를까? 교敎는 기존에 없던 것, 모르던 것을 새로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훈訓은 이미 알고 있는 것이지만 실천하지 못하는 것을 다시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즉, 잘못된 것을 올바르게 고치는 것이나 그릇되지 않도록 계속 유지 시켜주는 것, 일깨워 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가훈家訓이 ‘착하게 살자’일 때 ‘착하게’가 무슨 뜻인지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모두 다 잘 알고 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그렇게 살지 못하니, 가훈으로 정해놓고 항상 그렇게 되도록 일깨우고자 한 것이다. 정리하면, 교는 새 것을 가르치는 행위를 말하고 훈은 바른 것을 가르치는 행위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뒤에 ‘정음正音’이 오고 있으므로 ‘교민정음敎民正音’이라는 단어는 존재할 수가 없는 것이다. 훈訓이 단독으로 쓰여도 ‘(바른 것을) 가르치다’라는 뜻이고, ‘훈민정음’처럼 ‘正’과 함께 쓰여도 ‘(바른 것을) 가르치다’라는 뜻으로 쓰이는데, 교敎는 ‘正’과 함께 쓸 수가 없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새 것을 가르치는 행위들에 ‘訓’을 써서도 안 되는 것이다.

민民은 백성인데, 단순히 국민이라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즉, 백성의 상대가 되는 임금을 떠올려야 한다는 말이다. 원래, 인人과 민民이라는 말은 지배자 계급인 인人과 피지배자 계급인 민民을 뜻했고, 임금도 백성의 상대 개념인 인에 포함된다. 그런데, 인은 후대로 내려오면서 일반적인 사람을 의미하는 말로 변했다. 세종 당시에도 일반적인 사람을 의미하고 있다. 그러나, 민은 임금에게 있어서 왕족을 제외한, 경우에 따라서는 왕족도 포함되는데, 신하臣下를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을 가리킨다. 따라서, 백성을 가르치는 주체가 임금 즉, 세종임을 알 수 있다.

정正은 바르다인데 굽다와 반대이다. 굽다는 나쁘다, 잘못하다라는 말과는 조금 다르고, 비뚤어지다라는 말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음音은 성聲과 구별된다. 일반적으로, 성聲은 자연적인 소리로서 ‘닭울음소리’와 같은 것을 말한다. 음音은 성, 즉 자연적인 소리를 문자화하거나, 문자화한 것을 목소리 등을 통해 누구나 똑 같이 재연할 수 있는 것으로서 ‘꼬끼오’와 같은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음성언어音聲言語를 가리킨다. 또, 언어로서의 음에는 성도 포함된다. 그래서, 음은 어음語音, 자음字音 등과 같은 예로 사용된다. 그리고, 정음正音이라 할 때의 음은 한자漢字의 음을 뜻한다.

정음은 수천 년 이상 ‘한자漢字의 바른 음’을 뜻해왔다. 그런데, 국어사전에는 ‘훈민정음의 약자略字(줄임말)’라는 뜻도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후대의 무식한 자들이 지멋대로 국어사전에 집어넣은 것뿐이다. 이는 한글과 한국어를 구별 못하는 것과 같다. 어디까지나, 정음은 한자의 바른 음을 가리킨다. 더군다나, 훈민정음이라는 정책政策과 그 정책을 담은 훈민정음이라는 책에서는 더더욱 ‘한자의 바른 음’을 뜻한다. 훈민정음은 ‘백성에게 가르치는 한자의 바른 음’, ‘백성에게 한자의 바른 음을 가르치다’, ‘백성을 가르치는 한자의 바른 음’, ‘백성을 한자의 바른 음으로 가르치다’ 정도로 해석하면 된다. ‘그릇된 한자의 음을 바른 음으로 고치겠다’는 것이 훈민정음이다. 훈민정음은 28자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28자를 이용하여 한자의 바른 음을 백성에게 가르치려는 세종의 정치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훈민정음의 초점이 글자가 아니라 음성언어 즉, 문자文字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처럼, 훈민정음이라는 네 글자만 제대로 해석했다면 오늘과 같은 이러한 혼란은 없었을 것이다. 문맹퇴치文盲退治니, 문화생활이니, 우리말과 한문이 통하지 않아서라는 둥, 우리말을 적을 수 있는 표음문자를 만든다는 둥, 우리 문자가 없어서라는 둥, 임금과 백성이 서로 뜻이 통하지 않는다는 둥, 우리나라의 한자 발음을 정리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둥, 이런 헛소리들은 듣지 않고 살 수 있었을 것이다. 진실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간 주장들도 있지만, 안개 속을 헤매기는 다 마찬가지이다. 훈민정음이라는 네 글자뿐만이 아니라 서문, 상소문도 그냥 읽으면 다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글이다. 학자입네 엘리트네 하며 놀고먹으면서, 백년이 넘게 대중에게 사기를 치는 자들은, 밥숟가락을 놓던지 아니면 개과천선해서 대중에게 봉사해야 할 것이다. 글재주 없는 필자가 이렇게 땀 뻘뻘 흘리며, 자판기와 씨름하게 만든 것도 재주라면 재주라 할 것인데, 그 재주를 자신의 책무를 다하는데 썼으면 좋겠다.

그럼, 정말로 훈민정음의 목적과 정체성이 그러한지 확인 차, 서문의 내용을 살펴보자. 서문의 화자話者는 세종이다. 정인지나 신숙주처럼 길게 주저리주저리 늘어놓은 것이 아니라, 딱 세 문장으로 간결하고 쉽게, 그리고 분명하게 자신의 의도를 밝혀놓았다. 원인과 결과(문제점), 그리고 해결이라는 논리성도 완벽하게 갖춘 글이다. 정인지나 신숙주 등처럼 미사여구를 쓴 것도 아니며 다른 뜻으로 오해할 수 있게 아리송한 표현을 한 것도 아니다. 아니, 정인지 등은 아리송한 표현을 한 것이 아니다. 후대의 무식한 우리들이 한문을 몰라서 그런 것일 뿐이다.

첫 문장은 훈민정음을 펴내게 된 문제점의 원인을 서술하고 있다. 두 번째 문장은 첫 문장의 원인 때문에 현재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문장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시작이 반이라 했던가. 서문은 첫 문장만 해석하면 7할 이상 해석한 것이 된다. 모든 사람들이 이 첫 문장을 해석 못해서 난리다. 심지어, 일부 재야에서는 중국이 어떻고 저떻고 하면서 배를 산으로 몰고 있다. 사실, 첫 문장의 해석이 어려울 이유는 하나도 없다. 모국어가 한국어인 사람이라면, 보이는 대로 읽고 그대로 해석하면 된다. 한문본도 있고 언문본도 있고, 거기다가 언문본은 친절하게 주석까지 달아 놓았다. 그럼, 왜 백년이 넘게 헤매고 있었을까? 보이는 대로 읽는 것이 아니라, 자기 머릿속에 들어있는 엉터리 지식을 들이대고 거기에 맞춰 읽기 때문이다.

國之語音   나랏 말미   나랏 말소리

국國은 동국東國이다. 조선국朝鮮國이라 해도 틀린 것은 아니라 할 수 있지만 뒤에 중국中國이라는 단어가 오고 있으므로, 중국에 상대되는 동국이 가장 올바르다. 또, 훈민정음으로 가장 먼저 펴낸 책이 동국정운東國正韻이고 수천 년 동안 우리나라를 가리켜서 동국이라 하였으니, 조선이라는 명칭보다 더 보편적인 이름이라 할 수 있으므로 당연히 동국이다.

어음語音의 어語는 한국어韓國語, 일본어, 영어 등처럼 문법적인 말, 일반적인 음성언어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언言과 구별된다. 어語는 말로서 이루어진 것들을 의미하는데 언어처럼 문법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나, 어떤 사람의 어록이나 말 등을 가리킨다. 언言은 대체로 일반적인 의미의 말하다를 의미한다. 음音은 언어의 발음을 가리킨다. 언해본은 어음을 말씀 또는 말소리로 번역했는데, 말의 높임말인 말씀과 말소리, 둘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다. 사실, 우리가 현재 ‘말=말소리, 소리’로 자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말과 말소리는 엄연히 뜻이 다르다. ‘말이 다르다’와 ‘말의 발음이 다르다’, ‘언어가 다르다’와 ‘언어의 발음이 다르다’라는 형태로 바꾸어 보면, 그 둘의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다. 더구나, 훈민정음의 원본인 한문본에서는 분명히 어음語音이라 해서 음音을 말하고 있다. 당시의 운서들인 동국정운이나 홍무정운역훈, 사성통고 등에서도 어음語音, 문자지음文字之音, 화음華音, 자음字音, 본국지음本國之音, 중국지음中國之音, 속음俗音, 정음正音, 한음漢音 등등 발음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또, 훈몽자회를 비롯한 여러 곳에서 한어漢語, 리어俚語, 언어諺語, 언음諺音이라는 표현이 있어, 당시에 분명히 어語와 어음語音을 구별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부에서 어음語音을 ‘우리말 속의 한자漢字 발음’이라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이는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기 때문에 생겨난 주장으로서, 자신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스스로도 모르고 있다.

어음語音은 語와 音을 따로 떼어내어 해석할 것이 아니다. 어음은 하나의 고유명사이다. 동방東方의 음운사音韻史에서는 어음語音과 자음字音의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어음사語音史에 관한 것은 전하는 것이 없고 자음사字音史에 관한 것만이 남아 있다. 자음은 운서韻書나 운도韻圖로 체계화되고 연구되어 학문이 되었지만, 어음은 별다른 것이 없다. 자음은 ‘한자漢字의 음音’으로서 문자어文字語 즉, 지금의 중국어와 같은 언어를 만들기 위한 발음체계를 가리키는 단어이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어음은 자연어自然語를 가리키는 단어이다. 그런데, 어음이나 자음이나 단순히 언어라는 뜻 보다는, 언어의 발음에 대해 말하고 있는 단어인 것이다.

언문본의 ‘나랏말미, 나랏말소리’는 현대 한국어로 ‘나라의 말씀이, 나라의 말소리’이다.

‘국지어음國之語音, 나라의 말씀이, 나라의 말소리’는 ‘동국어東國語의 발음發音이, 한국어의 발음이’라는 뜻이다. ‘동국어가’ 보다는 ‘동국어의 음이, 동국의 어음이’가 더 정확한 해석이지만, ‘동국어가’라고 해석해도 서문의 내용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동국어는 중세의 한국어이다.

異乎中國   듕귁에 달아   듕귁과 달라

이異는 일반적으로 다르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는데, 고찰하면 ‘변하다’라는 의미가 있다. 변이變異, 이변異變에서처럼 변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리말 속의 한자어에는 생산生産, 교육敎育, 허공虛空, 몰락沒落, 추락墜落, 위기危機, 진퇴進退, 승부勝負 등과 같이 이자동의異字同義나 유의類義, 상대相對되는 글자를 조합해서 만든 단어들이 많다. 변이變異도 그러한 단어이다. 변變은 변하는 과정이나 그 기원을 알 수 있는 다름을 말하고, 이異는 변한 결과로써 그 기원을 알기 어려운 다름을 말한다. 어떤 것과 비교해서 기원은 같지만 변해서 달라진 것을 이異라고 하는 것이다. 같은 기원이 아닌 다름에는 별別자가 있다.

호乎는 어조사語助辭, 감탄사感歎詞, 의문사疑問詞 등으로 쓰이는데, 여기에서는 어조사로 쓰이고 있다. 어於, 우于 등과 같은 뜻으로서, 그 뜻은 ‘~에서’이다. 그러나, 이자동의異字同義인 어於, 우于와 함부로 바꿔 쓸 수 없다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어조사도 다른 한자처럼 원래는 서로 달랐을 것이나 세월이 흐르면서 시대에 따라 혼용함으로서, 어조사라는 특성 때문에 지금은 서로 어떻게 다른지 알 수 없게 돼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억지로 추정하자면, 장소를 나타낼 때 대체로 호乎는 고정성固定性을 가지지만 어於와 우于는 방향성方向性을 가진다. ‘서울에 살고 있다, 서울에 간다, 서울에서 간다’는 ‘서울에서 살고 있다, 서울로(에게) 간다, 서울로부터 간다’로 바꿀 수 있는데, ‘~에서’는 호乎이고 ‘~로, ~에게’는 어於, ‘~로부터’는 우于이다. 언문본의 ‘~에’는 ‘~에서’와 같은 말이고 ‘~과’는 비교의 뜻이다.

중국中國은 동국東國이 한국韓國이듯이 현재의 중국을 가리킨다 해도 무방하지만, 중국과 중국대륙은 엄연히 구별된다. 중국대륙이 천하天下이며 천하를 지배하는 것이, 평천하平天下하는 것이 중국이므로 천하를 중국이라 말하기도 한다. 천하는 주周나라 때까지 중국과 제후국諸侯國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이것이 관습으로 남아, 제후국이 없어진 다음에도 천하의 중심이 되는 지역을 중국이라 칭하게 된 것이다. 또, 제후국이 사라진 다음에도 그에 준하는 나라들이 존재했다고 할 수 있다. 훈민정음 반포시의 중국은 북경北京 지역이었지만 그 몇 십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남경南京, 즉 강남江南이 황제가 있는 중국이었다. 그리고, 당시의 중국은 명나라이다. 언문본에서 친절하게 설명해놨음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동국을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한문본이든 언문본이든 모두 다 분명히 ‘중국’이라 쓰여 있건만, ‘중국어中國語’라 해석하는 ‘눈 뜬 장님’들이 백 년 동안 대중들을 속여 왔다는 것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어떤 근거로 ‘중국’을 ‘중국어’로 해석할 수 있는지 필자는 죽었다 깨어나도 이해할 수 없다. 훈민정음이든 동국정운이든, 수많은 고전古典 그 어떤 곳에서도 중국을 의미하는 단어와 중국어를 의미하는 단어가 서로 혼용混用된 적이 없다. 소위 엘리트라는 소수가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법적 구조가 달라’라고 자기들 맘대로 해석하여 ‘한국어가 한문과 맞지 않아 한글을 창제創製했다’는 헛소리로 대중을 사기詐欺쳐 왔으며, 우매한 대중들은 아무 생각 없이 속아왔다.

한문은 중국어의 표기 문자이므로, 중국어와 한문은 맞고 한국어는 한문과 맞지 않아, 한문을 배우기 힘들어 한글을 만들었다 하는데, ‘중국어’가 무엇인지 그 정체성에 대해 한번이라도 생각해본 적은 있는가? 한문을 배우기에 중국인이나 한국인이나 어렵기는 다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한문을 일상용으로 배울 수 있는 능력이면 그 정도 어려움은 아무것도 아니다. 중국인이든 한국인이든 다를 게 없다. 설사設使, 그 문법적 차이 때문에 한국인이 배우기에 더 어렵다 하더라도, 이두吏讀가 있지 아니한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훈민정음을 만들었다면, 무엇인가 다른 이유가 있다고 생각해보는 것이 당연하지 않는가? 아전인수我田引水에다 ‘꿈 보다 해몽’이라고, 대상對象에 대해 역지사지 해보거나 이해하려 하지 않고, 자기 시대, 자기 가치관, 자기 생각에 맞춰 모든 것을 끼워 넣으려 하니, 헛소리를 지껄이게 되는 것이다.

현재의 중국어(보통화普通話)는 문자어文字語 즉, 인공어人工語이다. 현대의 생각 없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국인들이 heaven(하늘)이라는 뜻을 가진 /천/이라 발음하는 자연어自然語를, 천天이라는 문자로 표기하였고 그것이 한문漢文이라 착각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어도 한국어처럼 heaven이라는 뜻을 가진 /???/이라 발음하는 자연어가 지방에 따라 각기 있었지만, 언어통일책言語統一策 즉, ‘문자로써 천하를 언어적으로 통일하는 정책’에 의해 자연어가 사라진 것뿐이다. 천天은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에서 지역에 따라 발음이 변해서 /텬, 티엔, 천/ 등으로 발음되는 것뿐으로서, 자연어는 현재도 그 흔적들이 지방마다, 방언마다 남아있다. 단지, 의도적이건 비의도적이건 간에 이를 무시하거나 착각하고 있을 뿐이다. 동국과 중국의 여러 운서韻書 등에서 자연어는 어음語音으로 문자어(=문자文字)는 자음字音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훈민정음의 목적이나 정체성은 바로 그 정책의 연장선상에 있을 뿐이다. 지금의 중국어는 그러한 정책에 의해 탄생한 결과일 뿐이다. 이 훈민정음의 목적과 정체성에 의해 감춰진 동국東國의 역사가 드러날 것이며, 독자讀者들은 이 글을 통해 그 진실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언문본의 ‘듕귁에 달아, 듕귁과 달라’는 현대 한국어로 ‘중국에서 달라, 중국과 달라’이다.

‘이호중국異乎中國, 중국에서 달라, 중국과 달라’는 ‘중국에서 다르다, 중국에서 달라지다’라는 말이다. 이 말은, 동국어가 중국에 와서 발음이 달라졌다는 뜻이다. 즉, 동국에서의 동국어와 중국에서의 동국어가 발음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연하자면, 중국에서 어떤 언어들이 쓰이고 있는지는 몰라도, 동국어가 중국에서 주요언어主要言語라는 말이며, 동국어의 동국과 중국의 발음 차이가, 영어의 영국과 미국의 차이인지 영어와 독일어의 차이인지는 알 수 없지만, 서로 통하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다만, 통역이 필요한 것으로 보아 영어와 독일어 정도가 아닌가 생각된다. 그리고, 동국정운서문, 홍무정운역훈서문, 사성통고범례, 훈몽자회인·범례, 실록 등을 살펴보면 중국에서의 동국어를 한어漢語라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의 동국어를 한어로 부르는 것인지 아니면, 중국에서의 동국어는 별도로 사용되고 있고, 한어는 별개로 존재하는 것인지 분명分明하지는 않지만, 동국어가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은 명확明確하다. 이는, 지금의 각국 국민들이 다른 나라에서 ‘타운town’을 형성하고 있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즉, 영어가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영국의 발음과 다른 상황, 기원이 같은 언어가 오랜 세월 동안 지역에 따라 각자 변화한 것을 의미한다. 만약, 중국에서 한어漢語만이 사용되고 있었다면, 그것은 동국어東國語와 한어漢語가 같은 언어라는 뜻이다. 실제로 그 기원이 같은지 알 수 없으나, 세종과 동국인들은 그렇게 인식認識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여기에서 언문본, 첫 문장의 앞 구절과 뒤 구절을 잇는 접속사가 생략되어 있는지, 있다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한다. 두세 번째 문장은 접속사가 나와 있고 문장 전체가 매끄럽게 이어지고 있지만, 첫 문장은 어찌 보면 매끄러운 것 같기도 하지만, 그렇지가 않다는 것을 누구나 느낄 수 있다. 접속사가 없이 앞 구절 자체가 한 문장으로 끝나는 것인지, 아니면, 뒤 구절로 이어지는 접속사가 생략되어 있는지 분명치가 않다는 말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학자들이 ‘달아, 달라’를 ‘달라’로 해석하지 않고 ‘달라서’라고 해석하고 있고, 대부분의 대중들이 서문을 이해하는데 있어 불편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필자도, 이 부분 때문에 서문의 해석이 대중에게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라 생각한다. 아마도, 이것은 중세와 현대의 차이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어떤 접속사가 생략되어 있는지를 미리 속단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접속사가 무엇인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으며, 반대로, 해석에 따라 접속사가 정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원문에 명확하게 접속사가 나와 있지 않기 때문에 해석을 먼저 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즉, 해석에 따라서 생략된 접속사를 추정할 수 있다는 말이다. ‘달라서’라고 해석하면, 앞 구절이 뒤 구절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다르고’라고 해석하면, 앞 구절과 뒤 구절이 병렬竝列식으로 나열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접속사가 ‘그래서, 그리고’ 중에 어느 것이냐에 따라 전혀 다른 해석이 나올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기존의 거의 모든 해석에서는 ‘그래서’가 생략되어 있다고, ‘달아, 달라’를 ‘달라서’라고 해석하고 있다. 그리하여, 원문에도 없는 말을 지어내어,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법적 구조가 달라서 어쩌니 저쩌니 하는 헛소리를 지껄이고 있는 것이다. 물론, 기존의 해석들도 해석에 따라 접속사를 ‘그래서’라고 한 것이지, 접속사를 먼저 넣고 해석을 한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런데, 첫 문장이 두 번째 문장의 원인이 되면서, 또다시 첫 문장 자체에서, 앞 구절이 뒤 구절의 원인이 된다는 식으로 해석을 함으로써, 원인이 결과를 낳고 결과가 또다시 원인이 되어 또 다른 결과를 낳는다는 식으로 해석을 함으로써, 서문 전체의 구조에서 균형이 맞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기존의 해석은 ‘우리말이 중국말과 문법적 구조가 달라서, 한문과 서로 잘 맞지 않는다. 그래서 문맹인 백성이 말할 것이 있어도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이를 불쌍히 여겨 한글을 창제하니 사람마다 익혀 문자생활을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세 문장이 원인(문제問題의 원인), 결과(문제의 발생), 해결(문제의 해결)이라는 단순하고 쉬운 구조를 이루어 균형이 맞는 모습이 아니라, 원인과 결과(문제의 원인과 발생), 또 다른 결과(또 다른 문제의 발생), 해결(또 다른 문제의 해결)이라는 복잡하고 어려운 구조를 이루어 균형이 맞지 않고 있다. 또, ‘해결’이 문제원인을 없애어 문제발생 자체를 막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문제의 발생’만을 해결하고 첫 문장의 ‘문제의 원인이나 결과’는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즉, 원인을 해결하여 결과를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원인은 해결하지 않고 결과만을 해결하는 웃지 못 할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굳이 첫 문장을 언급할 필요가 무엇이 있는가? 언뜻 들으면 말이 되는 것도 같지만, 불교의 연기론을 논하는 것도 아니고, 세종이 어린 백성을 상대로 겨우 세 문장을 말하면서, 저렇게 어렵고 복잡한 말을 했을까라는 의문이 든다.

또, 우리말이 한문과 서로 잘 맞지 않는다는 것과, 문맹인 백성이 많다는 것과의 사이에, 인과관계인 한문은 배우기 어렵다는 말이 빠져있다. 한문이 배우기 어려워 문맹자가 많다는 것은 후대의 우리들이 추정한 것이지, 그러한 말을 생략할 이유는 없다. 우리말이 중국말과 다르다는 말, 한문과 서로 잘 맞지 않는다는 말, 백성을 문맹이라 하는 말, 뜻을 펴지 못한다는 말, 다른 말들은 다 하고 있으면서, 정작 중요한 말인 한문이 배우기 어렵다는 말은 생략하고 있다. 이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본인도, 해석을 먼저 하고 생략된 접속사를 집어넣을 수 있지만, 명색이 ‘원문에 충실한 해석’을 부르짖었으면서 그렇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사실, 서문 첫 문장의 구조는 현대의 한국어에서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문법적 구조이다. 예를 들어, ‘이것과 저것의 모양이 달라 색깔도 달라 크기도 달라 무게도 다르네’라는 문장이 있다면, 이 문장의 구조는 현대에도 잘 사용되고 있고, 그 뜻을 이해하는 데에도 전혀 지장이 없다. 즉, ‘이것과 저것의 모양이 다르고 색깔도 다르고 크기도 다르고 무게도 다르네’라는 문장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문장을 변화시켜 보자.

   (이것과 저것의 모양이 다르고 색깔도 다르고 크기도 다르고 무게도 다르네)
   이것과 저것의 모양이   달라  색깔도  달라  크기도  달라  무게도 다르네
=> 이것과 저것의 모양이   달라  색깔도              다르네                ; 생략
=> 이것과 저것의 모양이   달라  색깔도 함께         다르네                ; 도=도 함께
=> 이것과 저것의 모양이   달라  색깔과도            다르네                ; 도 함께=과도
=> 이것과 저것의 모양이   달라  색깔과도            맞지 않네             ; 다르네=맞지 않네
=> 이것과 저것의 모양이   달라  색깔과도         잘 맞지 않네             ; ‘잘’추가
=> 이것과 저것의 모양이   달라  색깔과도    서로 잘 맞지 않네             ; ‘서로’추가
=> 이것의 모양이 저것과   달라  색깔과도    서로 잘 맞지 않네㉮           ; 도치법
=> 나라의 말씀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도    서로 잘 맞지 않네             ; 단어 바꿈
=> 나라의 말씀이 중국에서 달라  문자와도    서로 잘 맞지 않네             ; 과=에서
=> 나랏   말미 듕귁에   달아  문와로    서르 디  아니쌔

또,
=> 이것의 모양이   저것과 달라 색깔과도      서로 잘     맞지   않네㉮
=> 이것의 모양이   저것과 달라 색깔과 더불어 서로 잘     맞지   않네      ; 과도=과 더불어
=> 이것의 모양이   저것과 달라 색깔과 더불어 서로 흘러서 통하지 못하는지라; 단어 바꿈
=> 나라의 말소리가 중국과 달라 문자와 더불어 서로 흘러서 통하지 못하는지라; 단어 바꿈
=> 나랏   말소리   듕귁과 달라 문로 더브러 서르 흘러통티      몯논디라

이렇게, 위의 예로 든 문장을 조금씩 순차적으로, 뜻이나 문법구조를 훼손하지 않고 변화시켜 나가다보면 훈민정음서문의 언문본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결국, 첫 문장의 앞 구절과 뒤 구절이 병렬식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뜻 또한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다. 두 구절 사이에 접속사가 들어간다면 그것은 당연히 ‘그리고’가 될 것이다.

與文字   문와로   문로 더브러

여與는 여러 뜻이 있지만 여기서는 더불어, 함께, 같이 등의 뜻으로 쓰이고 있다. 언문본에서는 ‘~와로, ~로 더브러’로 나와 있는데 이를, 현대의 학자들 일부는 ‘~와’ 즉, ‘문자와’라고 너무 성의 없이 허술하고 무책임하게 해석하고 있다. 심지어, 여與는 별 의미가 없는 허사虛辭일 뿐이라 해석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람이 있을 정도이다. 분명히 ‘~로 더브러’로 나와 있고, ‘~와’와 비슷해 보이지만 엄연히 다른 ‘~와로’라고 나와 있는데, 어떻게 저렇게 해석할 수 있을까? 언문본 같은 쪽에 ‘이와 저와’라는 말이 버젓이 나와 있는데도 불구하고 ‘~와로’를 ‘~와’로 해석할 수 있다니, 할 말을 잃는다. ‘~와로, ~로 더브러’는 ‘~와 더불어, ~와 함께’라는 뜻으로서 ‘문자와 더불어, 문자와 함께’라는 말로 해석할 수 있다. 어조사語助辭 즉, 부사격조사副詞格助詞인 ‘와+로’는 ‘더불어, 함께 + 수단手段, 도구道具, 방법方法’의 뜻으로 볼 수 있는데, 현대어로 바꾸면 순서가 바뀌어 ‘수단 + 함께’로서 ‘~로도’라는 말이 가장 적당할 것 같다. 또, ‘~로 더브러’ 역시 ‘~도 더불어, ~도 함께’라는 뜻으로 해석해야 한다. 즉, 여기에서의 ‘~로’는 현대에서 함께라는 뜻을 내포內包한 ‘~도’로 바꾸어서 해석해야 된다는 말이다. ‘문자와로’는 ‘문자로도’이고 ‘문자로 더불어’는 ‘문자도 더불어’가 된다.

그런데, 학자들 대다수가 ‘문자와 더불어, 문자와 함께’로 해석하면서도 정작, 첫 문장 전체를 해석할 때는 ‘나랏말이 문자와 통하지 않아서’라고 해석하는 웃기지도 않는 코미디를 연출하고 있다. ‘나랏말이 문자와 더불어 통하지 않아서’라고 해석해야 되지 않는가? ‘더불어’를 어디에다 갖다 버렸는가? ‘한국어가 한문과 서로 통하지 않는다’가 아니라, ‘한국어가 한문과 더불어 서로 통하지 않는다’로 해석해야 된다는 말이다. 즉, ‘문자도 더불어 서로 통하지 않는다’는 ‘어음뿐만 아니라 문자도 더불어 서로 통하지 않는다’라는 뜻이 되는 것이다.

문자文字를 단순히 한문漢文이라 해석해서, 우리말이 한문 즉, 중국문자와 잘 맞지 않는다, 문법구조가 다르다라고 말하는 것은 무식의 소치다. 한문 즉, 문자는 세 가지로 이루어졌는데 글자의 모양, 글자의 뜻, 글자의 소리가 그것이다. 문자는 모양에서는 옥편, 뜻에서는 훈고학, 소리에서는 운서라는 분야로 꾸준히 궁구窮究되어 왔다. 따라서, 문자와 통하지 않는다는 것이 셋 중에 어느 것이 통하지 않는다는 것인지 아니면, 강단학계의 주장대로 문법구조가 맞지 않는다는 것인지 속단할 수 없다. 그런데, 대다수의 역사학자와 국어학자는 문자의 세 요소 특히, 소리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고 있다. 다행히 일부 소수의 학자들이, 훈민정음이 제일 먼저 운서韻書들에 사용된 실례實例나 여러 가지 정황 등에 주목하여, 훈민정음의 주목적이 한자음정립漢字音正立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도 어쩔 수 없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주목적이 한자음정립에 있고 부목적이 표음문자창제라는 둥, 한자음정립과 표음문자창제 둘 다 주목적이라는 둥, 헤매기는 마찬가지이다.

이씨왕조의 문화적 정책에 의해서, 일반 백성의 문화적 요구에 의해서, 왕권강화나 지배체제를 확고히 하기 위해서, 애민정신에 의해서 훈민정음을 창제創製한 것이라는 둥, ‘꿈 보다 해몽’이 가관이다. 사실 따지자면, 어떤 정치행위든지 왕권강화나 지배체제강화에 이바지한다 할 수 있다. 백성에게 좋은 결과를 가져다주어서 백성들이 지배계급에 대해 긍정적인 마음을 갖는다면, 그것이 바로 왕권강화이고 애민정신이 아니겠는가. 하지만, 그런 막연한 목적이 아닌,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목적에 의해 훈민정음이 만들어졌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여러 가지 근거나 정황을 살펴보아, 훈민정음의 목적은 오로지 한자음정립 즉, 한자음통일漢字音統一에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 서문에서도 그것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문 즉, 문자라고 하면 모양과 뜻만을 떠올리기 쉬운데, ‘문자’는 분명히 음성언어의 기능이 있고 또한, 그 기능이 아주 큰데 현 중국어가 이를 증명한다. 따라서, ‘문자의 소리’라 말하지 않고 ‘문자’라고만 말해도, 이미 음성적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는 말이다. 또, 훈민정음이라는 제목도 그렇고, 앞 구절에서 ‘소리’에 대해 얘기했으므로 당연히, 뒤 구절에서도 ‘소리’에 대해 얘기해야지 문맥이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문자(한문)=중국어’로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앞 구절의 중국이라는 단어를 중국어로 착각해서인지, ‘문자=중국어’라고 말하는 사람은 아직 보지 못했다. 혹여, 문자를 중국문자라고 말하는 경우는 있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훈민정음서문에서의 ‘문자’는 음성기능으로서의 문자를 의미한다.

언문본의 ‘문와로, 문로 더브러’는 현대 한국어로 ‘문자로도, 문자도 더불어, 문자와 더불어, 문자도 함께, 문자와 함께’이다.

‘여문자與文字, 문자로도, 문자도 더불어’는 ‘~뿐만 아니라 문자도 ~이다’라는 뜻이다.

不相流通   서르 디 아니쌔   서르 흘러통티 몯논디라

상相 즉, ‘서로’는 ‘둘 이상의 대상이 그 상대에 대해서’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그런데, 모든 사람들이 여기에서의 ‘서로’를 ‘우리말과 한문’이라 해석하고 있다. 강단학계이건 재야학계이건 막론하고, 모두가 ‘우리말(語音)과 한문(文字)이 통하지 않는다’라고 해석하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고 있는데, 본인이 애꾸눈 마을에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기분이 든다. ‘더불어’는 어디에 팔아먹었는지 모를 일이다. ‘우리말이 한문과 통하지 않는다’가 아니라 ‘우리말이 한문과 더불어 중국과 통하지 않는다’라고 해석해야 한다. ‘문자와 더불어 한국어와 문자가 통하지 않는다’와 ‘문자와 더불어 한국과 중국이 통하지 않는다’의 두 말 중에, 어느 것이 말이 되고 어느 것이 말이 안 되는지 모르겠는가? ‘문자와 더불어’라고 했으면서 다시 ‘문자가’라는 말이 올 수 있는가? ‘어음이 문자와 더불어 서로 통하지 않는다 = 어음이 문자와 더불어 한국과 중국이 통하지 않는다’라고 해석하는 것이 맞다는 것을 모르겠는가?

‘서로’는 ‘동국과 중국’을 말한다. 여기에서의 ‘서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숙고熟考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많은 학자들이 백년이 넘게, 훈민정음의 목적과 정체성에 대해 헤매고 있었던 것이다. 아니, 헤매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직무유기, 거짓말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앞 구절에서 동국東國과 중국中國이 나왔으므로, 뒤 구절에서도 동국과 중국이 나와야, 서로 대구對句가 되지 않겠는가? 앞에서 어음語音이 나왔으니, 뒤에서 문자文字가 나와야, 서로 대구가 되지 않겠는가? 앞에서 동국과 중국의 어음을 비교했으니, 뒤에서도 동국과 중국의 문자를 비교해야, 서로 대구가 되지 않겠는가? 문맥의 흐름을 보아도 그렇고, 단어들의 의미를 보아도 그렇고, ‘서로’는 ‘한국어와 한문’이 아니라, ‘한국과 중국’을 가리킨다는 것이 명백하다.

유통流通은 ‘흘러 통하다’는 말인데 유流를 쓴 이유는, 통하는 것이 자연自然스러워야한다는 의미로서, ‘잘’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언문본의 ‘다’를 ‘사무치다’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잘못이다. ‘사무치다’는 ‘사+묻히다’이고, ‘다, 다’는 ‘사+맞다’이다. 그리고, ‘사’는 현대 한국어에서 거의 사라진 것으로 보이지만, 그 뜻은 ‘잘, 딱, 깊이’라는 뜻으로서, 정도程度가 크거나 많음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보면 될 것 같다. ‘사-’나 ‘흘러’가 붙은 것은, 통하기는 하는데 ‘잘’ 통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동국과 중국이 자연어로 통하지 않는데다가 문자 즉, 인공어로도 잘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언문본의 ‘서르 디 아니쌔, 서르 흘러통티 몯논디라’는 현대 한국어로 ‘서로 잘 맞지 아니할세, 서로 흘러 통하지 못 하는지라’이다.

‘불상류통不相流通, 서로 잘 맞지 아니할세, 서로 흘러 통하지 못 하는지라’는 ‘(동국과 중국이) 서로 잘 통하지 아니하다’이다. 앞 구절의 ‘다르다’는 ‘통하지 않는다’이고, 뒤 구절인 여기에서는 ‘잘 통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제, 첫 문장 네 부분의 각 해석을 정리하여 전체를 해석해보자.

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 不相流通(국지어음 이호중국 여문자 불상류통)
나랏 말미 듕귁에 달아 문와로 서르 디 아니쌔
나랏 말소리 듕귁과 달라 문로 더브러 서르 흘러통티 몯논디라

나라의 말씀이 중국에서 다르고 문자로도 서로 잘 맞지 아니 할세
나라의 말소리가 중국과 다르고 문자도 함께 서로 잘 통하지 못 하는지라

이것에 사족蛇足을 달면, ‘동국어의 발음이 중국에서 달라지고, 문자의 발음도 동국과 중국이 서로 잘 맞지 아니 하네’ 정도가 될 것이다. 이 말에 다시 또 사족을 달면, ‘자연어인 동국어로 동국과 중국이 통하지 않고, 인공어인 문자로도 동국과 중국이 서로 잘 통하지 않는다.’가 된다.

이 첫 문장을 음미吟味하면 몇 가지를 추정推定할 수 있겠는데, 그 중에 세 가지를 골라보자.

첫째는, 당시 세종을 비롯한 동국인들은 자연어인 동국어로 동국과 중국이 서로 통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전제前提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서문은 세종이 직접 쓴 것이지만 첫 문장이 나타내는 당시의 상황이 세종 혼자만의 인식認識은 아니다. 아무리 지고지상至高至上의 임금이라지만, 이 부분을 자기 혼자만 멋대로 다른 동국인들과 동떨어져서 생각하고 있을 수는 없다는 뜻이다. 문제의 원인, 당시의 현재 상황을 언급함에 있어, 누구나 납득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럼,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기존의 역사지식으로는, 사대주의事大主義에 물든 동국인들이기 때문에, 동국과 중국이 언어로 통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 않겠냐 하겠지만, 그것은 결코 아니다. 그렇게 보려면, ‘중국어가 동국에서 달라’라고 말해야 한다.

단순히, ‘동국과 중국이 언어가 달라 언어로 통하지 않고, 문자로도 서로 잘 통하지 않는다’라고 해석하면 안 된다. 기존의 지식대로 말하자면, 동국과 중국의 언어가 서로 다른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인데, 굳이 다르다는 말을 할 필요가 있는가? 그냥, 동국의 한자음을 중국의 한자음에 맞춘다라고 하면 될 일이다. 그래서, 이것을 이해하지 못한 학자들이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법적 구조가 달라’라는 엉터리 해석을 내놓은 것이다.

다시 한 번 더 설명하자면, 당시의 동국인들은 동국어와 중국어를 같은 언어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한문본과 언문본 모두 다 동국어와 중국어를 같은 언어로 보고 있다. 동국어와 중국어가 애초부터 다르다면, 굳이 다르다는 말을 할 필요가 없다. 뒤 구절에서, 문자가 맞기는 하는데 잘 맞지 않는다 하였고, 첫 문장 전체의 해석이 ‘어음이 문자와 더불어, 문자도 어음과 더불어’이므로, 어음이 애초에는 같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어음이 중국에서 다르다, 어음이 중국과 다르다’는 ‘어음이 중국에서 달라지다, 어음이 중국과 달라지다’로 해석해야 된다. 그리고, 그 어음은 바로 동국어를 가리킨다. 첫 문장을 해석해도 알 수 있지만, 중국과 동국의 여러 운서에서, 중국도 어음이 있었음을 언급하고 있고, 현대의 중국어(보통화)가 어음語音이 아닌 자음字音이라는 것과, 한국어는 한자어(자음字音)가 아닌 우리말(어음語音)이 따로 존재한다는 것이, 그 언어가 바로 동국어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둘째는, 동국과 중국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동국과 중국을 이웃나라로 알아왔다. 때로는 친구로, 때로는 경쟁자로, 때로는 적으로, 때로는 강자와 약자로 수 천년을 이웃으로 지내왔다라고 알고 있다. 이는 강단이나 재야를 막론하고 모든 학자들이 마찬가지이다. 한 곳에서는, 우리가 강대국이나 주변의 침략자들에게 시달리면서도, 꿋꿋하게 잘 버티어 온 자랑스러운 민족이라 말하고, 다른 한 곳은, 우리도 한때는 중국 보다 더 잘 나갔던 적이 많았었다며, 몽골이나 중국의 소수민족, 심지어는 일본까지 아울러서, 연맹을 만들어 중국에 대항하자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것은 다 왜곡된 역사에 의한 인식이다. 재야에서는 한국의 역사, 고대사가 축소 왜곡되었다라고 말하지만, 그와 더불어 왜곡된 중요한 것이 하나 더 있다. 그것은 바로, 동국과 중국의 관계에 대한 왜곡이다. 이 첫 문장이 말해주는 사실은, 동국과 중국은 하나의 국가이며 하나의 세계, 하나의 시스템system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에서 동국어가 쓰이고 있다는 것이 무엇을 뜻하는 말이겠는가? 강대국强大國이 약소국弱小國의 언어를 사용한다, 중화中華의 중국이 변방의 오랑캐인 동국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약소국이 강대국과의 언어소통을 걱정하고 있다? 기존의 역사지식으로는 이를 설명할 수 없다. 동서고금을 통틀어, 강대국이 자신의 언어나 문화를 약소국에게 강요하고 약소국은 이에 저항하거나 따르는 것이 진리다. 강대국은 약소국이 자신의 언어나 문화를 잘 따르지 않는 것을 걱정하지, 약소국의 언어나 문화를 따르지 않는다. 강대국이 군사적으로 약소한 국가를 정복하고 그들의 문화를 받아들이는 경우가 있지만, 그것은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이 자연스러운 일로서 굳이 표현하자면, 강한 문화가 약한 문화를 정복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언어는 문화와 달라서 정복자의 언어를 강요하게 되어 있고, 약소국이 저항하는 것도 꼭 민족주의나 애국심 등에서 오는 것만은 아니다. 사람은 기본적으로 불편한 것이 아닌 편한 것을 찾게 되어 있다. 자신이 익숙한 것, 버릇을 바꾸는 것이 어찌 쉬운 일인가? 결국, 약소국은 살기 위해 강요이든 필요에 의해서든 강대국의 언어를 따르게 되어있다.

그런데, 땅도 작고 백성도 적은 동국의 언어를 중화의 중국이 사용한다? 기존의 지식에서 말하는, 중국이 종주국이며 동국은 제후국諸侯國, 종속국從屬國이라는 말이 거짓이라는 뜻이다. 상국上國은 하국下國이 자신의 언어나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걱정하고, 자신의 언어나 문자를 하국이 잘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결코, 하국이 스스로 상국의 언어나 문자와 통일하려 하는 경우는 없다. 하국이 상국과의 언어소통을 걱정하고 언어통일, 문자통일을 위해 훈민정음을 만든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다시 말하자면, 동국이 상국上國이며 종주국宗主國이라는 말이다. 동국과 중국의 관계를 비유해서 설명하자면, 동국과 중국은 부모와 자식이며 회장會長과 사장社長이 된다.

셋째는, 훈민정음은 동국백성에게 내려진 것이 아니라 중국백성에게 내려 보낸 것이라는 사실이다. 훈민정음의 목적이 한자음의 정립에 있는데, 동국 내內의 한자음통일이나 중국의 한자음에 동국의 한자음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잘못이라는 말이다. 이른바 ‘사대모화事大慕華’ 때문에 동국의 한자음을 중국의 한자음에 맞추려고 하였다라고 해석하는 것은 정말로 큰 오산誤算이다. 세종이나 당시의 동국인들은, 자연어인 동국어가 동국과 중국에서 서로 달라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인공어인 문자까지도 서로 달라져서는 안 된다라고 말하고 있다. 즉, 중국의 한자음을 정립해서 동국과 잘 통하게 하겠다는 것이며 중국, 천하天下의 한자음을 통일하겠다는 의지가 발현된 것이 바로 훈민정음이라는 말이다. 이것이 바로 훈민정음서문의 첫 문장이 뜻하는 바이다. 따라서, 동국정운이나 홍무정운역훈 등도 중국에 내려 보낸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일방적一方的으로 동국의 한자음을 중국에게 강요한 것은 아니다. 실제로, 중국의 한자음을 널리 채집하였다. 세종이 훈민정음으로 하고자 한 것은, 동국과 중국의 한자음을 통일시키는 것이 목적이지만 중국 즉, 천하天下의 한자음을 하나로 통일하는 것도 목적이다. 결론적으로, 동국과 중국, 그리고 천하의 한자음을 통일하겠다는 것이 세종의 의지이다. 동국정운을 비롯한 여러 운서가 이를 증명해주고 있다. 세종이 중국의 황제와 다른 것은, 중국의 황제는 천하의 한자음을 통일하는 데에 목적이 있지만 세종은 천하의 한자음을 통일하는 것과 더불어 동국과 중국의 한자음통일에도 힘쓰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첫 문장만으로도 엄청나고 놀라운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문장과 세 번째 문장을 해석하면 확실하게 알 수 있다. 하물며, ‘최만리 등의 상소문’을 읽어보면 더 이상 진실을 부정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렇게 설명을 해주어도 독해력이 떨어지는 자들은, 아직도 필자의 해석이 틀렸다라고 말할 것이다. 자신들의 이해력이 떨어져서 이해를 못하는 것을, 필자의 탓으로 돌리지 마라. 이해가 안 된다 하여, 해석이 틀렸다라고 말하는 것은 잘못이다.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은 해보지도 않고, 무조건 말이 안 된다 이해가 안 된다 하면서, 필자의 해석이 틀렸다라고 말하는 것은 정말 몰염치한 짓이다. 정말로 이해가 안 된다면, 유치원을 다시 들어가서 한국어를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방법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친절한 필자가 다시 설명을 하겠다. 이번에는 더 확실한 근거를 들어 보이겠다. 첫 문장의 해석에 대해 더 이상 왈가왈부하지 않기를 바란다.

훈민정음으로 제일 먼저 펴낸 것이 바로 동국정운東國正韻인데, 아래는 그 서문에 나와 있는 말이다. 앞뒤의 생략된 부분이 궁금하거나, 필자에게 유리한 부분만을 골라서 가져왔다고 의심하는 사람들은,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하여 확인하면 될 것이다. 당연하지만, 해석은 필자가 한 것이 아니고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것을 그대로 복사해 온 것이라, 필자의 입맛에 맞게 마음대로 해석한 것이 아니다.

생략된 앞부분을 대충 요약하자면, 문자의 음이 어떻게 이루어졌고 왜 변하는가를 어쩌고저쩌고 하면서, 철학적인 해설을 하고 있다. 물론, 생략된 앞부분도 중요하겠지만 이 글에서 다루는 주제와는 다르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을 뿐이다. 또, 후략된 부분을 요약하면, 자음뿐만 아니라 청탁과 사성이 변하게 된 이유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가며, 훈민정음을 이용하여 동국정운을 펴낸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 인용한 부분은, 자음字音에 대한 철학적 설명이 끝나자마자 이어지는 부분이다. 또, 이 부분에 이어서 동국정운을 펴낸 이유가 따라오고 있는데 즉, 음이 변한 것뿐만 아니라 청탁淸濁, 사성四聲까지도 모두 변했으니, 동국정운을 펴낸다는 말을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부분이 동국정운을 펴내게 된 명분名分이자 진짜 이유가 된다는 말이다.

===========================
~前略
吾東方表裏山河, 自爲一區, 風氣已殊於中國, 呼吸豈與華音相合歟! 然則語音之所以與中國異者, 理之然也。 至於文字之音則宜若與華音相合矣, 然其呼吸旋轉之間, 輕重翕闢之機, 亦必有自牽於語音者, 此其字音之所以亦隨而變也。
後略~

~전략
우리 나라는 안팎 강산이 자작으로 한 구역이 되어 풍습과 기질이 이미 중국과 다르니, 호흡이 어찌 중국음과 서로 합치될 것이랴. 그러한즉, 말의 소리가 중국과 다른 까닭은 이치의 당연한 것이고, 글자의 음에 있어서는 마땅히 중국음과 서로 합치될 것 같으나, 호흡의 돌고 구르는 사이에 가볍고 무거움과 열리고 닫힘의 동작이 역시 반드시 말의 소리에 저절로 끌림이 있어서, 이것이 글자의 음이 또한 따라서 변하게 된 것이니,
후략~
===========================

서문의 첫 문장과 똑같은 말을 하고 있지 않는가? 차이점이 있다면, 훈민정음서문은 임금인 세종이 쓴 것이고 동국정운서문은 신하인 신숙주가 쓴 것이라는 점, 세종은 간단하게 15자로 표현했다면 신숙주는 93자로 길게 늘여놓았다는 것뿐이다. 해석이 제대로 되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여기에서의 요점은 ‘어음이 중국과 달라진 것은 어찌할 수 없는 일이지만, 자음까지 달라져서는 안 되는데, 자음도 어음의 영향을 받아 달라졌다’이다. 훈민정음과 동국정운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서, 훈민정음서문의 첫 문장과 동국정운서문의 이 문장이 서로 일치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며 필자의 자의적인 해석에 의한 것도 아니다. 훈민정음서문과 동국정운서문이 똑같은 말을 하고 있는데, 이래도 필자의 해석이 틀렸다라고 말할 수 있는가?

이 부분의 해석을 제대로 해보자. 동방은 동국이 아니라 동아시아를 가리키는 단어이다. 동방을 동국과 같은 뜻으로 오해하고 있으니, 해석이 엉터리가 되는 것이다.

{우리 동방은 표리의 산하가 스스로 한 구역을 이루지만, 풍기가 이미 중국에서 달라졌으니, (동국의) 호흡이 어찌 화음과 함께 서로 합치될 것인가. 그런즉, (동국의) 어음이 중국과 다르게 된 것은, 이치가 그러한 것이라. 문자의 음에 있어서는 마땅히 화음과 함께 서로 합치되어야 하지만, 그 호흡의 돌고 구르는 사이에 가볍고 무거움과 열리고 닫힘의 동작이, 역시 반드시 어음에 저절로 이끌리게 되니, 이것이 자음 또한 따라서 변한 것이라.}

‘우리 동방은 표리의 산하가 스스로 한 구역을 이루지만, 풍기가 이미 중국에서 달라졌으니’는 ‘우리 동방은 표리의 산하가 스스로 한 구역을 이루어, 같은 풍기를 유지하는 것이 쉽지만, 풍기가 이미 중국에서 달라졌으니’라는 뜻이다. 동방 속에 동국과 중국이 포함되는 것이지, 동방과 중국이 별개의 것이 아니다. 또한, 동방과 동국은 엄연히 전혀 다른 뜻의 단어이다. 신숙주는 동국인이고 동국의 입장에서 말을 하고 있으니, 당연히 이렇게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다. 동방의 주인主人인 동국의 입장에서 동방을 바라봤을 때, 중국도 동방의 일부분이므로 동국, 중국 등이 하나의 풍기를 이루어야 맞지만, 풍기가 이미 중국에서 달라졌다는 뜻이다. 신숙주를 비롯한 동국인들이 어떠한 정치적 포부를 가지고 있는지, 그것을 모르니 제대로 된 해석이 나올 수 없는 것이다.

수많은 학자들이, 훈민정음서문과 동국정운서문을 수십 번 읽어보고 궁구窮究해 보았을 것인데, 어찌하여 진실을 알아보지 못했을까? 참으로 안타까울 뿐이다. 앞에서 얘기 했듯이, 모든 것을 자기의 틀린 지식에 맞추어 생각하려 하니,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다.

두 번째 문장부터는, 평이平易한 말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해석하는데 있어 그리 어렵지 않으나, 첫 문장 못지않게 중요하다. 역시나, 기존의 해석들은 엉터리들로 가득하다.

故 愚民 有所欲言   이런 젼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져 홀 배 이셔도

우愚는 어리석다라는 뜻이다. 그런데, 언문본에서는 ‘어린’으로 나와 있다. 이를 두고, 국어학자라는 이들은 ‘어리다’가 중세국어에서는 ‘어리석다’는 뜻인데 현대로 오면서 ‘나이가 적다’는 뜻으로 바뀌었다라고 말하고 있다. 한심하고 한심한 일이다. 저들의 한심寒心함이 어제오늘의 일이던가! 셋째 문장의 ‘어엿비’도 마찬가지이다. ‘어리다’나 ‘어엿브다’, 둘 다 의미변화가 없다. ‘나이가 적다’는 것은 단순히 숫자가 적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어리다’는 아직 어른이 되지 못했음을, 미성숙함을, 더 배워야함을, 판단력이나 이성理性이 부족함을 말하는 것으로서 곧, 어리석음을 말하는 것이다. 현대에도 같은 이유로 ‘미성년자’를 ‘성인’과 구별하고 있다. ‘어엿브다(예쁘다)’ 역시 마찬가지이다. ‘불쌍하다’는 의미에서 ‘예쁘다’라는 의미로 바뀐 것이 아니다. ‘예쁘다’를 단순히 ‘아름답다, 美, pretty’라는 뜻으로 보는 것은 잘못이다. ‘예쁘다’는 부모가 자식에게,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베풀 것이 있는 사람이 궁핍한 사람에게 사용하는 말이다. 강아지가 낑낑대며 젓 달라고 어미 개를 찾는 모습이나, 아기가 엄마에게 미소를 띠우는 모습이 바로 ‘예쁘다’이다. 예쁜 강아지나 예쁜 아기를 보면 무언가 해주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는가? 그러한, 무언가 해주고 싶은 마음이 들게끔 하는 모습을 가리켜 예쁘다라고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예쁘다라는 말이 불쌍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예쁜 강아지나 아기를 보면서 느끼는 불쌍함과 과부나 고아, 거지를 보면서 느끼는 불쌍함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불행한 사람을 보며 무언가 해주고 싶다고 느끼는 것은 ‘불쌍하다’이고, 강아지나 아기를 보며 무언가 해주고 싶다고 느끼는 것이 바로 ‘예쁘다’이다.

요즘에 간혹 어떤 이들이, 자식이 어머니에게 ‘엄마가 예쁘다’라는 표현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이다. 어머니에게는 ‘곱다’라는 표현을 써야 한다. ‘곱다’는 ‘어머니 성性’을 지닌 모습으로서의 미美 즉, ‘고우신 어머니’라든지 ‘새색시가 곱다’, ‘아가씨가 곱다’라는 표현 등으로 쓸 수 있다. ‘곱다’를 단순히 ‘미美, pretty’라는 뜻으로 보면 안 될 뿐만 아니라, ‘여성적인 아름다움’으로 봐서도 안 된다. ‘곱다’를 고찰하면 어머니 즉, 지모신地母神을 뜻하는 ‘마고麻姑(Magot), 고마(곰熊), 고(God)’에 그 어원(고+ㅂ다=고답다=곱다, 고마+ㅂ다=고마답다=고맙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린’이라는 말이 들어간 것은 서문의 화자話者와 그 상대가 임금과 백성이라는 것을 다시 상기시켜 주는 것이다. 임금의 입장에서는 백성을 ‘어리다’라고 할 수 있다. 또, ‘어리석다’라고도 할 수 있다.

민民은 백성을 말하는데 역시, 서문의 화자와 그 상대가 임금과 백성이라는 것을 알게 해주는 말이다. 그리고, 여기에서의 백성은 문자文字 즉, 한문漢文을 익히고 사용하는 백성을 말한다. 한문을 사용하지 않는 백성은 훈민정음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첫 문장에서 문자의 발음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할 수 있다는 것은, 문자를 익힌 다음에 발음이 맞고 안 맞고를 따질 수가 있는 것이지, 문자를 알지도 못 하고 익히지도 못 한 사람에게 발음을 시비한다는 것은 있을 수가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유소욕언有所欲言은 ‘말하고자 할 바가 있어도’이다. 언문본은 언言을 ‘니르고져’라고 표현했는데 현대의 ‘이르다’와 같은 말로서 ‘말하다’이다. ‘말하다’는 발성기관을 통해서 몸 밖으로 음성언어를 방출하는 일반적인 모든 행위를 가리키는 것인데 비해, ‘이르다’는 ‘말하다’보다 훨씬 더 좁은 의미로서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구체적으로 드러난 상황에서 쓰이는 말인데, 대화對話가 아닌 일방적一方的 발언發言을 말한다. 언言이든 니르다이든 음성언어인 말하다를 가리킨다.

그런데, 또 여기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헤매고 있다. ‘언言, 니르다’를 지 멋대로 ‘글자를 적다, 한자를 적다, 글을 쓰다, 한문을 쓰다, 글로 뜻을 펴다, 한문으로 뜻을 펴다, 뜻을 글로 쓰다, 뜻을 한문으로 쓰다’라고 해석하고 있다. 어떻게 그렇게 해석할 수 있는가? 언言이나 니르다, 둘 다 엄연히 ‘~에게 말하다’로서 음성音聲을 말한다. 이를 아무 근거도 없이 ‘글로 뜻을 펴다, 한문으로 뜻을 펴다’로 해석해서, 세종이 백성의 문맹文盲을 퇴치하기 위해, 문자생활을 위해 한글을 창제創製했다라는 거짓말을 백 년 동안 해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뜻이란 마음속에 있는 어떤 의지나 생각을 말한다. 그리고, ‘뜻을 펴다’는 마음속에 있는 뜻을 말이나 몸짓, 글, 행동 등을 통하여 외부로 드러내는 것을 말한다. 즉, 말이나 글은 뜻을 펴는 여러 가지 방법들 중에 하나일 뿐이라는 말이다. ‘글을 쓰다, 뜻을 펴다’라는 의미로 ‘붓을 들다’라는 관용구를 쓰기는 하지만, 뜬금없이 ‘말하다’를 ‘글자를 적다, 글로 뜻을 펴다’라는 의미의 관용구로 해석하고 있으니, 황당하기 이를 데 없다.

글을 쓰는 도구가 붓이다 보니, ‘붓을 들다’가 ‘글을 쓰다’라는 의미의 관용구로 쓰일 수 있으며, 뜻을 펴는 도구가 글이다 보니, ‘글을 쓰다’가 ‘뜻을 펴다’라는 의미의 관용구로 쓰일 수 있고, ‘붓을 들다’가 ‘뜻을 펴다’라는 의미의 관용구로 쓰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말하다’나 ‘글을 쓰다’ 둘 다 뜻을 펴는 도구로서, 서로가 대등한 관계이므로 서로를 관용구로 쓸 수 없다. ‘말하다’를 ‘뜻을 펴다’로, ‘글을 쓰다’를 ‘뜻을 펴다’라는 의미의 관용구로 쓸 수 있지만, ‘말하다’를 ‘글을 적다’라는 의미의 관용구로 쓸 수는 없다. ‘글로 말하다’는 ‘말하다’가 ‘뜻을 펴다’의 관용구로 쓰일 수 있으므로, ‘글자를 적다, 글을 쓰다, 글로 뜻을 펴다’라고 해석할 수 있으나, 엄연히 원문에는 ‘글로 말하다’가 아니라 ‘말하다’로 나와 있다.

‘이르다(말하다)’는 ‘글을 쓰다, 글로 뜻을 펴다’ 뿐만 아니라 ‘뜻을 펴다’로도 해석될 수 없다. ‘뜻을 펴다’로 해석하면, ‘뜻을 펴고자 할 바가 있어도 뜻을 펴지 못 한다’라는 말이 되어, ‘뜻을 펴는 도구(말, 글)’에 문제가 있어서 뜻을 펴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뜻을 펴는 당사자(백성)’에게 문제(사정事情)가 있어서 뜻을 펴지 못하는 것이 되어버려, 전혀 다른 뜻의 문장이 돼버린다. 그리고, 뒤 구절에 ‘뜻을 펴다’라는 말이 왔으니, 앞 구절에는 뜻을 펴는 도구道具(방법方法)인 ‘말하다, 글을 쓰다’가 와야, 문장 전체가 ‘말(글)로 뜻을 펴다’라는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문장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말이 한문과 잘 맞지 않아) 우리말을 한문으로 표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라거나 ‘한문으로 뜻을 펴고자 하여도 (한문이 어려워서) 뜻을 펴지 못 한다’라고 해석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즉, ‘뜻을 표현하는 수단’인 ‘말하다’에 문제가 있어서, 그 뜻을 펴지 못 한다라는 말로서, ‘말하고자 하여도 (말이 통하지 않아) 뜻을 펴지 못 한다’라고 해석해야 되는 것이다.

두 번째 문장을 해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백성이 자신의 뜻을 이르고자 하는 대상對象이, 백성이 자신의 뜻을 전하고자 하는 대상이 누구이냐 하는 것이다. 기존의 해석들은 그 대상을 불특정不特定하고 있다. 아무 근거도 없이, 그 대상을 추상적으로 설정하여, 백성의 ‘문맹퇴치, 문자생활’을 위하여 훈민정음을 만들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언言, 이르다’는 음성音聲이며 그 대상은 구체적인 것이다. ‘이르다’는 전하는 자와 받는 자가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일방적으로 전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단어이기 때문에, 이르고자 하는 그 대상이 구체적일 수밖에 없다.

혹자는, 첫 문장에서 동국과 중국의 언어불통이 원인이라 하였으니, 백성이 이르고자 하는 대상이 중국인들이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동국인과 중국인은 서로 대화를 하는 것이지, 일방적으로 전하는 것이 아니며, 동국인이 중국인에게 일방적으로 전할 무엇이 있는 것도 아니다. 또, 동국인과 중국인이 대화를 하는데, 세종이 그 한쪽 당사자인 자신의 백성을 가리켜 ‘어리석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아무리 사대주의 어쩌고저쩌고 하더라도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중국인은 어리석지 않은데 동국인이 어리석어 서로 말이 통하지 않으므로, 동국인을 가르쳐서 중국인과 통하게 하겠다는 말이 돼버린다. 앞에서 말했듯이, 상국上國인 중국이 하국下國에게, 동국 백성에게 언어교정을 요구할 수는 있지만, 하국인 동국이 스스로 먼저 언어교정을 하려고 나서는 경우는, 고금을 통틀어 그 어디에도 없는 일이다. 또, 그 대상이 중국인이라면 문장 전체에서 그 단어를 생략하기에는 너무나 중요한 단어가 된다. ‘중국인에게’라는 단어를 생략하면, 한국어가 모국어이고 한문에 아무리 능통한 자라도, 서문을 읽고 ‘중국인에게’라는 단어가 생략되어 있다 추정하기 어렵다.

‘어린, 백성, 놈’이라는 단어가 있고, 서문은 세종이 백성에게 말하고 있는 것이므로, 백성이 이르고자 하는 대상은 너무나 당연하게도 임금인 세종이 된다. 또, 서문의 화자가 세종이므로, 백성이 이르고자 하는 대상이 임금인 자신이라는 것을 생략할 수 있으며 오히려, 생략하지 않는 것이 문장을 매끄럽지 못 하게 할 수도 있다. ‘어린 백성이 <나에게> 이르고자 할 바 있어도 = 어린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바 있어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언문본의 ‘이런 젼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져 홀 배 이셔도’는 현대 한국어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바가 있어도’이다.

‘고우민유소욕언故愚民有所欲言,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바가 있어도’는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임금인 세종에게 말하고자 할 바가 있어도’이다. 이것은, 백성이 글이나 다른 수단을 통하여 임금에게 뜻을 전달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대전大殿에서 임금과 신하가 마주하여 서로 말로써 대화對話를 나누는 것과 같은 상황을 말하는 것이다.

而終不得伸其情者 多矣   내 제 뜨들 시러 펴디 몯  노미 하니라

이종而終은 ‘마침내, 끝내, 끝까지’이다. ‘마침내’는 백성이 임금에게 자신의 뜻을 말하고자 하여도 말이 통하지 않아, 대화가 끝날 때까지 뜻을 펴지 못하는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분명히 ‘마침내’는 ‘대화가 끝날 때까지’를 의미한다. 다른 식으로 해석해서는 말이 안 된다. 즉, 기존의 해석들처럼 ‘한문으로 뜻을 펴고자 하여도 끝내 뜻을 펴지 못 한다’라고 해석할 수는 없다. (우리말이 한문과 잘 맞지 않아) 한문으로 뜻을 펴기가 어려울 뿐이지 끝까지 뜻을 펴지 못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대필代筆이라는 것도 있고, 임금과 백성이 끝까지 뜻이 통하지 않았는데, 어떻게 임금이 정치행위를 할 수 있겠으며, 백성이 통치될 수가 있겠는가.

득得은 얻다, 손에 넣다라는 뜻인데 여기에서는 ‘싣다(~에 ~을 실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흔한 표현인, ‘차를 얻어 타다’와 같은 경우이다. ‘차를 얻어 타다 = 차에 몸을 싣다’로서 ‘차를 자기의 소유로 하다’가 아닌 ‘편승便乘하다’라는 뜻이다. 즉, 여기에서는 ‘말(음성언어)에 그 뜻을 실어’라는 뜻이 된다. ‘한문(글자)에 그 뜻을 실어’라고 해석해서는 안 된다.

기其는 ‘그’를 뜻하는 지시대명사인데, 언문본에서는 ‘제’라고 나와 있다. ‘그’는 ‘백성’을 가리킨다. ‘제’는 ‘저, 자기’라는 뜻으로서, 상황에 따라 1인칭이나 3인칭대명사로 쓰이는데, 여기에서는 3인칭인 ‘자기’로서 ‘백성 자신’을 의미한다. 서문의 화자가 세종이므로 기其를 ‘제’라고 번역할 수 있다. 따라서, ‘기정其情, 제 뜻을’은 ‘백성이 뜻을, 백성 자신의 뜻을’이라는 말로 볼 수 있는데 결국, ‘그 = 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者는 여기에서 놈이라는 뜻이다. 자者는 사람의 비어卑語인 ‘놈’이라는 뜻 말고도, 여러 가지의 의미로 쓰이며, ‘것’이라는 뜻을 지녀 물건, 일, 상황, 현상 등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자者의 뜻인 ‘놈, 것’은 사람을 낮추어 표현할 때 ‘이놈, 저놈, 어린놈’이라 하기도 하고, ‘이것, 저것, 어린것’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또, 사물事物을 가리켜 ‘이것, 저것’이라 하기도 하지만, ‘이놈, 저놈’이라 하기도 한다. 즉, ‘놈’이 사람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사물을 가리키는 (비어가 아닌) 일반적인 의미의 대명사로 쓰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사물을 의인화한 것이라 할 수도 있겠지만, 사물을 가리켜 ‘이사람, 저사람’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놈’이 애초에 사람을 뜻하는 단어였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다시 말하자면, 사람과 사물을 함께 포괄하는 어떤 단어에 그 어원이 있지 않나 생각된다.

그런데, 학계에서는, ‘놈’이 중세국어에서 일반적인 의미의 사람을 가리켰는데, 현대로 오면서 사람을 낮추어 표현하는 비어로 변했다고 말한다. 이 역시 틀린 말이다. 서문에 분명히 ‘사람’을 의미하는 ‘백성民, 놈者, 사람人’이라는 단어가 셋이나 있다. 즉, 세 단어 모두 각기 그 뜻이나 쓰임이 다르다는 말이다. 그리고, 몇 번이나 말하는 것이지만, 서문의 화자는 세종이고 그 상대相對는 백성이다. 백성民은 치자治者의 대상對象으로서의 사람을 의미하고, 놈者은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지칭할 때의 사람을 의미한다. 사람人은 고대에는 치자계급治者階級을 의미하는 단어였지만, 세종 당시에는 일반적인 의미의 사람을 가리킨다라고 알려져 있다. 사람人이 들어간 세 번째 문장과는 다르게, 두 번째 문장에서는 백성民과 놈者이 쓰이고 있다. 두 번째 문장은 ‘문제의 발생’에 대해 말하고 있는데, 그 ‘문제의 발생’ 당사자가 임금과 백성이기 때문에, 윗사람인 세종이 아랫사람인 백성을 놈이라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중세국어에서도 ‘놈’은 현대와 같은 의미로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언문본의 ‘내 제 뜨들 시러 펴디 몯  노미 하니라’는 현대 한국어로 ‘마침내 제 뜻을 실어 펴지 못 하는 놈이 많으니라’이다.

‘이종부득신기정자다의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 마침내 제 뜻을 실어 펴지 못 하는 놈이 많으니라’는 ‘백성이 임금과의 대화가 끝날 때까지 자신의 뜻을 제대로 얘기하지 못 한다’이다. 결국, 두 번째 문장은 ‘말하고자 하여도 말이 통하지 않아 끝내 그 뜻을 말에 실어 펴지 못 한다’라고 해석해야 됨을 알 수 있다.

이제, 둘째 문장 두 부분의 각 해석을 정리하여 전체를 해석해보자.

故 愚民 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 多矣(고 우민 유소욕언 이종부득신기정자 다의)
이런 젼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져 홀 배 이셔도 내 제 뜨들 시러 펴디 몯  노미 하니라

이런 까닭으로 어린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실어 펴지 못 하는 놈이 많으니라

이것에 사족을 달면,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임금에게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대화가 끝날 때까지(접견이 끝날 때까지) 백성 자신의 뜻을 임금에게 제대로 표현하지 못 하는 사람이 많다’가 된다.

기존의 해석들 중에 주류主流는, 백성이 이르고자 하는 대상을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으로 해석하고 있으나, 그렇게 해석할 수 있는 근거는 아무 것도 없다.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서문은 세종이 백성을 대상으로 백성에게 말하는 것으로서 임금과 백성 사이의 정치적 행위인, 임금과 백성 사이의 대화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대화의 당사자가 바로 백성과 임금이며, 대화의 방식은 직접적인 음성언어이다.

여기까지 잘 따라온 독자들은 당연한 하나의 의문을 품을 것이다. 첫 문장에서 동국과 중국의 언어소통을 언급한 것이, 두 번째 문장과 맥락이 이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할 것이다. 동국과 중국의 언어소통에 문제가 있다고 했는데 뜬금없이, 왜 임금과 백성 사이에 말이 통하지 않는다는 것일까? 그렇다고, 필자의 해석이 틀렸다는 생각도 들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어디가 어떻게 잘못된 것일까?

맞다. ‘어린 백성’은 동국의 백성이 아니라 중국의 백성을 가리킨다. 이렇게 해석해야 한다. 이유가 필요 없다. 그렇게 쓰여 있지 않는가? 따라서, 훈민정음은 동국이 아닌 중국의 백성을 위하여 만든 것이 된다. 마찬가지로, 동국정운이나 홍무정운역훈 등도 중국에 내려 보낸 것이 된다.

마찬가지로, 동의보감이나 ‘동국~, 동~’ 등도 대부분 중국에 내려 보낸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동국 자체 내에서만 쓰기 위한 것일 수도 있지만, 일단 ‘동국~, 동~’이 붙은 것은 천하 즉, 중국에 내려 보내기 위해 만든 것이 된다는 말이다. 동국의 것은 천하의 표준이자 기준이며 모범이 되기 때문이다. 사실, 이것은 그렇게 놀랄 일이 아니다. 알고 보면, 동국의 거의 모든 정치행위나 정책들이 중국에 행해졌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중국에 내려 보낸 것이지만 동국에도 해당되는 것, 중국에만 내려 보낸 것, 동국에만 내린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동국에 내린 것이지만 중국에도 해당되는 것은 없다. 훈민정음 한문본은 동국이 아닌 중국에 내려 보낸 것이고, 동국정운, 홍무정운역훈, 사성통고 등은 중국에 내려 보낸 것이지만 동국에도 해당되는 것이고, 훈몽자회는 동국에만 내린 것이다. 또, 훈민정음 언해본은 중국이 아닌 동국에 내려 보낸 것이지만, 용비어천가는 중국과 동국에 함께 내려 보낸 것이 된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동국이 존재하는 이유는 중국 즉, 천하를 경영하기 위함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엉터리 역사지식으로 인해 동국과 중국의 관계나 동국과 조선의 관계, 동국과 동방의 관계, 조선과 천하의 관계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다. 여러 서적에서 굳이 동국과 중국을 구별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다. 동국의 행위는 기본적으로 천하를 대상으로 펼치는 것이며,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동국과 중국을 구별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를 오해한 우리는 조선왕조의 그 모든 것들이 동국 즉, 한반도에 펼쳐진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조선왕조의 모든 것은 천하를 대상으로 한다는 것을 ‘최만리 등의 상소문’에서 확인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실록이 일제日帝에 의해 변조變造되었다는 것도 깨닫게 될 것이다.

기존 학자들의 주장대로 동국정운이 동국에 내려진 것이고, 동국의 한자음통일이나 중국의 한자음에 동국의 한자음을 맞춘 것이라 가정하자. 동국의 한자음통일이라면 동국과 중국의 한자음이 서로 맞네 틀리네 언급할 필요가 없이, 그냥 동국내의 표준 한자음을 정하면 될 일이다. 또한, 사대모화에 의해 중국의 한자음에 동국의 한자음을 맞추는 것이라면, 당시 중국의 한자음에 맞추면 될 일이지, ‘세속의 습관을 두루 채집하고 전해 오는 문적을 널리 상고하여, 널리 쓰이는 음(音)에 기본을 두고 옛 음운의 반절법에 맞추어서 자모(字母)의 칠음(七音)과 청탁(淸濁)과 사성(四聲)을 근원의 위세(委細)한 것까지 연구하지 아니함이 없이 하여 옳은 길로 바로잡게 하셨사온데’라는 말은 매우 엉뚱하고도 이상한 말이 돼버린다. 동국내의 한자음을 통일하자는 것인지, 중국의 한자음에 맞추자는 것인지 알 수 없다. 현대의 학자들은 이 점을 이해하지 못 함으로서, 인위적인 한자음정리네 중국음에 억지로 맞춘 것이네 어쩌네 저쩌네 하면서, 현실음과 맞지 않아 결국 동국정운이 폐지되었다라고 말하고 있다. 학자들이 헤매고 있는 것은 훈민정음이나 동국정운의 정체를 모르기 때문이다. 나중에 설명되겠지만, ‘세속의 습관(俗習)’에서의 속俗은 보통명사가 아니라 고유명사로서 중국 즉, 천하를 가리킨다. 원래에는 본本, 리俚, 언諺, 언彦, 중衆은 동국을, 지支, 방方, 속俗, 사士, 민民은 중국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사실, 동국정운은 동국과 중국의 한자음을 통일시키는 것이 목적이면서, 그와 동시에 천하의 기본음을 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말이 무슨 말이냐 하면, 동국정운의 목적이 단순히 천하의 표준음을 정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자의 본래음本來音 즉, 현실음 보다는 오리지널original(古)을 정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는 말이다. 비교하자면, 한국어사전韓國語辭典이 아니라 한국고어사전韓國古語辭典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에 비해 홍무정운역훈은 한국어사전과 같은 것이며, 사성통고는 간추린 한국어사전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세종의 이상理想은 현실을 인정하면서, 결국에는 오리지널로 복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원래의 올바른 고음古音을 찾아내어 정리한 것이 동국정운이며, 현재음을 위주로 하여 천하의 표준음을 정한 것이 홍무정운역훈이다. 따라서, 역훈을 일상에 사용하지만 가능한 동국정운도 함께 익혀서, 고음(古音=正音)으로 복귀하자는 것이 세종의 뜻이 된다. 그런데,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 고음이, 중국이 아닌 동국 위주로 편집되었다는 것이다. 주로 사용되는 곳은 중국대륙, 천하인데 동국의 음과 가깝고 중국의 현지 음과는 멀기 때문에, 백성들의 실제 문자생활과는 괴리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동국인들도 이미 중국음에 익숙한지가 오래이므로, 동국정운을 강요하지 말라고 하였으며, 결국에는 동국정운의 강론이 폐지되는 운명에 처하게 된 것이다.

~今將本國正韻, 分以七音, 叶以淸濁, 使初學者, 先習是書, 次學洪武韻, 則七音回聲, 隨口自分, 其於學漢音也, 未必無補矣。(성종실록 12년 10월 22일 5번째 기사)
~앞으로 본국정운本國正韻은 칠음七音을 나누고 청탁淸濁으로서 협운叶韻이 되게 하여 초학자初學者로 하여금 먼저 이 책을 익힌 후 홍무운洪武韻을 배우게 하면 칠음회성七音回聲이 입에서 저절로 구분되어 한음漢音을 배우는 데 반드시 도움이 될 것입니다.
~伏見世宗朝, 軫念此習, 命申叔舟, 作《東方正韻》, 以爲永世之法, 廢而不講久矣。 請於經筵之上, 館學之中, 一依《正韻》讀之, 則下至窮鄕僻村, 可以廣傳, 而不患字韻之謬矣。(명종실록 6년 3월 21일 1번째 기사)
~삼가 보건대 세종조에서 이런 풍습을 근심하여 신숙주申叔舟에게 명하여 《동국정운東國正韻》을 만들어서 영원한 법으로 삼으셨는데, 이를 폐지하고 강講하지 않은 지가 오래입니다. 바라건대 경연에서나 관학館學에서 한결같이 《동국정운》에 의해 읽게 한다면 아래로 산간 벽촌에 이르기까지 널리 전파되어 자운字韻의 오류는 걱정할 것이 없을 것입니다.

이 기사의 요점은, 홍무정운을 배우기 전에 동국정운을 먼저 익히라는 것이다. 즉, 고음古音이자 정음正音인 동국정운을 먼저 익히고 난 다음에 현재음인 홍무정운을 배우게 되면 음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국과 중국의 음이 서로 달라지기 전으로 복귀함으로서, 동국과 중국의 한자음을 통일하자는 것이 동국정운이다. 따라서, 동국정운이 모든 운서의 기본基本(영세지법永世之法)이 되는 것이다. 기존의 주장대로, 중국의 한자음에 동국의 한자음을 맞추는 것이라면 홍무정운만 번역하면 될 일이다. 그런데, 오지랖 넓은 세종은 당시의 중국음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고음古音을 정립正立하고 있다. 또, 동국정운이 중국에 내려진 것이 아니라 동국에만 내려진 것이라면, 동국정운을 동국인들만 익혔다면, 현재음인 홍무정운만 익히고 고음을 모르는 중국인들이 동국인들과 통할 수 있겠는가? 결국, 동국과 중국의 어음이 다르고 자음까지도 달라졌느니 어쩌니 하는 말들은 전부 다 헛소리가 되는 것이다.

훈고학訓詁學은 ‘바르게 고치다, 바르게 가르치다’는 뜻의 훈訓과 ‘옛날의 한자漢字, 옛날의 언어言語’를 뜻하는 고詁가 합해져 이루어진 단어로서, ‘한자漢字의 뜻을 바로잡는 학문, 고전古典의 뜻을 바로잡는 학문’이라는 뜻이다. 역시나, 학계에서는 이를 엉터리로 해석하고 있다. 학계는 ‘언어言語를 연구함으로써 문장을 바르게 해석하고 고전古典 본래의 사상을 이해하거나 경전의 자구字句에 대한 해석을 주로 연구하는 학문의 한 분야’가 훈고학이라 하며 주저리주저리 어려운 수사修辭와 어구語句를 곁들여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은 맞는 말이다. 그러나, ‘훈訓은 자구나 언어가 가리키는 의의를 설명한다는 것이고, 고詁는 고언古言으로서 회의會意의 글자를 가리키는데, 그것은 바로 고어古語를 현재의 언어문자로 바꾸어 풀이한다는 의미를 가진다’라고 설명하는 것은 엉터리이다. 정황을 살펴서 훈고학이 어떤 것인 가에 대한 결론은 맞지만, ‘훈고訓詁’라는 말의 뜻에 대해서는 너무나도 엉터리로 해석하고 있다. 훈고학이라는 단어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훈訓은 ‘고쳐서 가르치다, 바르게 가르치다, 바로잡다’라는 뜻이다.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이 홍무정운을 번역하여 동국에 내려진 것이라면, ‘훈訓’이라는 단어가 붙을 이유가 없다. 중국의 한자음에 동국의 한자음을 맞추기 위해, 홍무정운을 훈민정음으로 번역하는 것이라면, ‘홍무정운역’이라 하면 될 것이지 ‘훈’이라는 단어를 제목에 써서는 안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자. 어떤 영어서적이 원문 그대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있는데, 유식한 이들이 원문 그대로 읽어 해석한 뜻 a를 서로 공유하고 있었는데, 그들 중에 어떤 이가 ‘작가가 원래 나타내려고 한 뜻 A와는 다르다’며 작가의 원래 의도와 일치하는 뜻을 반영하여, 작가의 원래 의도에 맞게 뜻 a를 A로 고쳐 한국어로 번역하였다면, 그 책 제목에 ‘역’이라는 단어를 붙일 수는 있지만, ‘훈’이라는 단어는 붙일 수가 없다는 말이다. 뜻 a로 오해한 것은 작가와는 아무 상관없는 일일 뿐만 아니라, 설사 작가의 원작이 틀렸다 하더라도 주석註釋을 달 수 있을 뿐이지, 원작을 고치고 ‘훈’을 제목에 넣을 수는 없는 것이다. ‘훈’을 붙일 수 있는 사람은 그 책의 원래 저자著者나, 그 책을 마음대로 편집할 수 있는 권한을, 원래 작가에게서 받은 사람만이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동국인들이 중국의 한자음인 홍무정운을 잘못 사용하고 있어서, 동국인의 한자발음을 올바른 중국의 홍무정운에 맞추기 위해서, 홍무정운의 틀린 부분을 올바로 고쳐 동국인에게 적용하기 위해서 홍무정운을 번역한 것이라면, ‘훈’이라는 단어를 붙일 수는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원래 홍무정운은 중국의 왕이 중국백성에게 내린 것이기 때문이다. ‘훈’을 붙일 수 있는 자는 중국의 왕인 천자天子나, 천자 보다 윗사람인 천제天帝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동국의 왕인 세종은 중국의 천자 보다 윗사람인 천제가 되는 것이고, 홍무정운역훈의 역譯은 홍무정운의 반절식 발음기호를 훈민정음식 발음기호 즉, ‘초성+중성+종성’으로 이루어진 훈민정음으로 바꾼다는 뜻이고, 훈訓은 변하거나 잘못된 발음을 바르게 고친다는 뜻이 된다. 홍무정운을 펴낸 지 70여년이 지나 그 동안 변한 것도 있고 원래 잘못된 것도 있어서, 훈민정음을 이용하여 홍무정운의 발음을 당시의 표준 중국음으로 고쳐서, 중국에 다시 내려 보낸 것이 바로 홍무정운역훈이 되는 것이다.

~首命譯洪武正韻,令今禮曹參議臣成三問,典農少尹臣曹變安,知金山郡事臣金曾,前行通禮門奉禮郞臣孫壽山及臣叔舟等,稽古證閱,首陽大君臣諱,桂陽君臣璔,監掌出納,而悉親臨課定,叶以七音,調以四聲,諧之以淸濁,縱衡經緯,始正罔缺,然語音旣異,傳訛亦甚,乃命臣等,就正中國之先生學士~
~夫洪武韻用韻倂析,悉就於正,而獨七音先後,不由其序,然不敢輕有變更,但因其舊,而分入字母於諸韻各字之首,用訓民正音,以代反切~
~世之不用已久,且先輩已有變之者,此不可強存而泥古也,四聲爲平,上,去,入,而全濁之字平聲,近於次淸,上,去,入,近於全淸,世之所用如此,然亦不知其所以至此也,且有始有終,以成一字之音,理之必然而獨於入聲,世俗率不用終聲,甚無謂也,蒙古韻與昔公紹韻會,入聲亦不用終聲,何耶,如是者不一,此又可疑者也,往復就正旣多,而竟未得一遇精通韻學者,以辨調諧紐攝之妙,特因其言語讀誦之餘,遡求淸濁開闔之源,而欲精夫所謂最難者,此所以辛勤歷久而僅得者也~(보한재집:홍무정운역훈서-한국고전종합DB)
~먼저 《홍무정운》을 번역할 것을 명하여 현 예조 참의 신 성삼문, 전농소윤 신 조변안, 지금산군사 신 김증, 전 행통례문봉례랑 신 손수산 및 신 숙주로 하여금 옛것을 교정하게 하고, 수양대군 신 휘와 계양군 신 증이 출납을 맡게 하고, 모두 직접 자리에 참석하여 과별로 정하여 칠음으로 맞추고 사성으로 고르고 청탁으로 조화를 시키니, 가로 세로ㆍ씨와 날이 비로소 바르게 되어 결함이 없었다. 그러나 발음이 다른 이상 잘못 전한 것이 또한 많아서 신 등에게 명하여 중국의 선생이나 학사에게 가서 바로잡게 하므로~
~무릇 《홍무정운》에 사용한 운이 병탁된 것은 모두 바로잡아 놓았는데 유독 칠음의 선후가 그 순서를 따르지 아니하지만, 그렇다고 감히 경솔히 변경할 수가 없어서 다만 이전 것을 그대로 두고 자모를 여러 운과 각 글자의 머리에 나누어 편입시켰다. 훈민정음을 이용하여 반절을 대신하고~
~세상에서 사용하지 않은 것이 이미 오래고 또 선배가 이미 변경해 놓은 것이 있으니, 이는 억지로 두어서 옛것에 얽매여서는 안 되며, 사성은 평성, 상성, 거성, 입성이 되는데 전탁의 글자는 평성이 차청과 근사하고 상성, 거성, 입성은 전청과 근사한데, 세상에서 쓰고 있는 것이 이와 같다. 그러나 또한 그것이 이렇게 된 이유를 알 수 없으며 또 시성이 있고 종성이 있어 한 글자의 음을 이루는 것은 이치의 필연인데, 유독 입성에만 세상이 대개 종성을 쓰지 아니하니 너무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몽고운과 황공소의 《운회》도 입성에는 역시 종성을 쓰지 아니하였으니 어찌된 일인가? 이와 같은 것이 한 가지가 아니니, 또한 의심되는 것이다. 왕복하여 바로잡은 것이 많았으나, 마침내 한 번도 운학에 정통한 자를 만나서 그 골라 놓고 얽어 놓은 묘리를 변론해 보지 못하고, 특히 말하고 읽고 외고 하는 나머지에 의해서 청탁과 개합의 근원을 연구하여 이른바 가장 어려운 것을 정밀히 해명하고자 하니, 이것이 오래도록 죽을 애를 써서 겨우 얻게 된 것이다.~

‘유독 칠음의 선후가 그 순서를 따르지 아니하지만, 그렇다고 감히 경솔히 변경할 수가 없어서’는 애초부터 아예 고칠 생각을 하지 못 한다는 뜻이 아니라, 고치려면 고칠 수 있지만 고치지 않겠다는 뜻이다. ‘세상에서 사용하지 않은 ~ 옛것에 얽매여서는 안 되며’는 홍무정운을 고치겠다는 말이다. 또, ‘세상(世)’은 한반도가 아니라 중국대륙을 말한다. 사대모화에 의해 중국에 딱 맞추더라도 부족할 텐데 아니, 딱 맞추기 위해 오지랖 넓게도 8년 동안이나 중국의 현재음을 조사하여 역훈을 펴냈다. 이것은, 홍무정운역훈이 단순히 홍무정운을 번역한 것이 아니라, 당시의 중국음을 넓게 조사하여 홍무정운을 바로잡았다는 것을 뜻한다.

동국정운을 펴내는 것, 번역을 넘어서 고치기까지 한 홍무정운역훈, 이것이 과연 속국의 왕이 할 수 있는 일인가? 필자의 말이 의심된다면, 동국정운서문과 홍무정운역훈서문을 기존의 지식에 맞춰 읽지 말고, ‘중국에 내려 보낸다’는 가정하假定下에 한번 읽어보라. 모든 것이 딱딱 들어맞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동국정운은 고음을 정립한 것이며, 홍무정운역훈은 당시의 표준음을 정립한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훈민정음이 그러한 운서들을 편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는 것도 알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훈민정음을 정의하자면, 훈민정음은 한자의 발음기호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부언하면, 훈민정음과 한글은 별개別個이다.

혹자는 ‘역譯’이라 하니 한문을 우리말로 번역해 놓은 것이라 오해할 수도 있는데, 동국정운이나 홍무정운역훈에서 훈민정음(한글)이 쓰인 것은 한자의 발음기호뿐이고, 나머지는 전부 다 한문이다. 즉, 훈민정음 이전의 한자 표음법表音法인 반절에서는 ‘東 德紅切’이었는데 훈민정음 이후로는 ‘東 동’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의 역은 현대의 번역飜譯이라는 개념과는 다르고, 한자의 발음기호를 한글로 표기한다는 뜻이다. 한문을 우리말로 번역한다는 개념을 가진 당시의 단어로는 언해諺解가 쓰였다. 역譯은 이 언어를 저 언어로 바꾼다는 뜻으로서, 음성언어뿐만 아니라 문자언어도 포함하는 폭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어, 언해도 역에 포함되는 한 종류이다. 사투리를 표준어로 바꾸는 것이나 간체자를 번체자로 바꾸는 것도 역에 포함된다.

홍무정운역훈서序에 ‘且以世宗所定四聲通攷 別附之頭面 復著凡例 爲之指南(또 세종께서 정해 놓으신 사성통고를 따로 앞에 수록하고, 다시 범례를 지어 길잡이를 하게 하였다)’라고 나와 있듯이, 사성통고는 홍무정운역훈과 엮인 것인데 역훈보다 먼저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세종이 정定하였다고 하였으니, 역훈을 간추린 것이 사성통고가 아니라 사성통고를 지침으로 하여 역훈을 펴낸 것이다. 사성통고범례四聲通攷凡例를 보면 그 중에 아래의 내용이 있고,

一. 以圖韻諸書 及今中國人所用 定其字音 又以中國時音所廣用 而不合圖韻者 逐字書俗音於反切之下
1. 운도와 운서 및 여러 서적에서 지금 중국인이 쓰고 있는 것으로써 그 자음을 정하고 또, 널리 쓰이고 있는 중국의 현재음으로서 운도나 운서의 음과 맞지 않는 것은, 글자마다 반절 아래에 속음으로 표기했다.
一. 凡齒音 齒頭則擧舌點齒故其聲淺 整齒則卷舌點腭故其聲深 我國齒聲ㅅㅈㅊ在齒頭整齒之間 於訓民正音 無齒頭整齒之別 今以齒頭爲ᄼᅎᅔ 以整齒爲ᄾᅐᅕ 以別之
1. 무릇 치음에서 치두음은 혀를 들어 이에 대어 발음하므로 그 소리가 얕고, 정치음은 혀를 말아 잇몸에 대어 발음하므로 그 소리가 깊다. 우리나라의 치성인 ㅅㅈㅊ(좌우 획이 같은 모양)은 치두음과 정치음의 사이이다. 훈민정음에서 치두음과 정치음을 나누지 않았으나, 이제 치두음은 ᄼᅎᅔ(왼쪽 획이 긴 모양)으로 표기하고, 정치음은 ᄾᅐᅕ(오른쪽 획이 긴 모양)으로 표기하도록 나누었다.

훈민정음 언해본의 마지막 부분에 한문본에는 없는 내용이 추가되어 있는데, 현대 용어로 바꾸어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漢音齒聲은 有齒頭正齒之別하니 / 중국中國소리의 잇소리는 치두齒頭와 정치正齒의 갈라짐이 있나니
ㅈㅊㅉㅅㅆ字는 用於齒頭하고 / ㅈㅊㅉㅅㅆ자字는 치두齒頭 소리에 쓰고  =>왼쪽 획이 긴 모양
ㅈㅊㅉㅅㅆ字는 用於正齒하나니 / ㅈㅊㅉㅅㅆ자字는 정치正齒 소리에 쓰나니  =>오른쪽 획이 긴 모양
牙舌脣喉之字는 通用於漢音하나니라 / 어금니와 혀와 입술과 목소리의 자字는 중국中國 소리에 통通해쁘나니라

‘중국소리의, 중국 소리에 통해’는 언해본의 독자讀者가 동국인이라는 것을 말해주는 것으로서, 언해본이 동국에 내려졌다는 것을 뜻한다. 또, 동국인이 추가된 치두음과 정치음을 익혀 한문을 사용하면 중국의 한문 발음과 같아서, 동국 사람이 중국과 문자로써 통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이는, 동국 사람이 동국식 한문 발음과는 별개로 중국식 한문 발음을 익히는 것을 뜻한다.

범례에서 말하는 속음俗音은 중국음中國音 즉, 한음漢音을 가리키는데 정음正音이 아닌 광용음廣用音을 말한다. 그런데, 모든 사람들이 여기에서 크게 오해를 하고 있다. ‘한국의 속음, 중국의 속음, 일본의 속음’이라고 사용되는 것처럼 ‘속’이 보통명사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속俗’은 고유명사로서 ‘천하天下’를 가리키는 단어이다. 그리고, 동국에서 중국을 가리키는 별칭이기도 하다.

훈몽자회訓蒙字會는 왕명에 의해 지어진 것이 아니라, 최세진이 진상進上하여 간행된 책으로서 동국에 내려졌다. 훈민정음이 반포된 후 80여년이 흐른 후(1527년)에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언문을 이용하여 만든 한자 학습서이다. 훈몽자회 범례에 보면,

一. 凡字音 在本國傳呼差誤者 今多正之 以期他日衆習之正
1. 무릇 자음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전해오는 발음이 달라진 것은 이제 이를 많이 바로잡아, 앞으로 여러 사람이 바른 음을 배울 수 있게 했다.
一. 註內稱俗者 指漢人之謂也 人或有學漢語者 可使兼通 故多收漢 俗稱呼之名也 又恐註繁 亦不盡收
1. 註 안에 '俗'이라고 일컬은 것은 중국 사람이 말함을 가리킴이니, 사람들 중에 혹시 중국어를 배우는 사람이 있으면, 겸하여 통하게 할 수 있어서 중국어의 속어를 많이 수록했는데, 역시 주가 너무 번잡할까봐 모두 수록하지는 않았다.
-언문자모諺文字母 <속소위반절俗所謂反切, 이십칠자二十七字>

훈몽자회의 범례에서, 분명하게 우리나라를 ‘본국本國’이라 말하고 있고 또, 실록에서 동국정운을 본국정운이라 말하고 있다. 현재의 많은 사람들이 ‘본국本國, 본인本人’ 등의 단어가 ‘자기 자신을 지칭’하는 단어라 알고 있다. 그러나, ‘본’은 지支에 대한 상대어로서 ‘지支에 대해 자기 자신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국어사전이나 옥편을 뒤져보면, 그냥 스스로를 지칭하는 뜻과 지에 대해 스스로를 지칭하는 뜻이 함께 실려 있는데 이는 근세 이후에 왜곡된 것이다. 동국은 본국이고 중국은 지나支那이다. 본은 ‘근본根本, 뿌리, 줄기, 원래元來-原來, 본래本來, 근원根源, 주主, 바탕’을 뜻하는 글자이고 지는 ‘갈리다, 가지, 근원에서 갈라진 것, 팔다리, 종從’을 뜻하는 글자이다.

많은 사람들이, 진秦에서 China가 유래한 것이며 China를 음역한 것이 지나支那라 말하지만, 이 역시 왜곡된 것일 뿐이다. 산스크리트어인 ‘치나스타나’에서 유래한 진단震旦(振旦, 眞旦)이 그 어원이라 말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발해를 뜻하는 진단震旦과 일치하고 있어 진단이 단순한 음역이 아니며, 월인석보에도 나오듯이 진단은 동방(아침) 즉, 중국을 가리키며 중국이 곧 조선이라는 것도 알 수 있다. 또, 지支는 음역한 것에 불과하므로 그 글자의 뜻에 집착하면 안 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지나支那가 고대의 어떤 단어를 한자로 음역한 것이라 하더라도, 그냥 아무렇게나 음역한 것이 아니라 뜻도 반영하여 만들어진 단어일 수도 있다. 단순히 음만을 옮기는 경우도 있지만 뜻만을 옮기는 경우도 있고, 음과 뜻 모두를 옮기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단순하게 보지 말고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지나에 대한 한자표기 중에 가장 많이 오랫동안 사용된 단어는 ‘支那’이다. 따라서, 처음에는 단순한 음역으로만 사용되었을지라도, 후대로 내려오면서 본국에 대한 속국屬國의 의미가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 혹자는, 이른바 민족주의자들이 중국에 대한 콤플렉스를 감추기 위해 지나라는 명칭을 많이 사용한다고 말하는데, 이 또한 왜곡이다. 기미독립선언서에도 나오듯이 지나라는 명칭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단어이다. 일제에 항거하던 이들이 무슨 정신이 있어, 중국에 대한 자존심을 세우려고 중국을 깔아뭉개려 하였겠는가? 일제에 투쟁할 시에 중국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였을 것인데, 중국과 척을 지을 이유가 없다. 실제로도, 임시정부가 중국에 있었고 국외의 독립운동 중에 가장 활발하였던 지역이 중국이다.

이른바 학자, 교수, 박사라는 이들이 이 훈몽자회를 수십 번 읽어보고 연구를 하였을 터인데, 눈뜬장님이 따로 없다는 말은 이런 곳에서 쓰라고 만들어진 말이 틀림없다. 범례에서 분명히, 주註 안의 속俗은 ‘한인漢人이 말하는 것’을 가리킨다고 말하고 있는데, 반절이 한글의 별칭 중에 하나로서 잠깐 쓰였을 뿐이라고, 아무렇지도 않게 대중을 속이고 있다. ‘언문자모諺文字母’에 대한 주註에서 속소위반절俗所謂反切(속에서는 이른바 반절이라 한다)이라 말하고 있는데 이는, 중국 사람이 언문을 훈민정음, 언문 등으로 부르지 않고 반절이라 부른다는 말이다. 이것은, 정음이나 정운, 역훈 등이 중국에 내려졌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또, 속이 중국을 가리키는 별칭이라는 것도 증명해준다. 이 밥벌레들은, 한글의 별칭인 반절은 중국인들이 붙인 이름인데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민간에서 쓰인 별칭이라며 거짓말을 해왔다. 이러니, 눈뜬장님이라 할 만하지 않겠는가.

왜 속俗을 한인漢人이라 하는지, 한인이 왜 한글을 반절反切이라 불렀는지를 알아내지 못 한다 하더라도, 반절이 우리나라의 민간民間에서 쓰였었던 한글의 별칭이었다라는 거짓말은 하지 말아야 했다. 소위 학자, 엘리트라 불리는 전문가 집단이 얼마나 거짓말을 잘 하는지, 왜 그들을 더 이상 전적全的으로 신뢰信賴하면 안 되는지, 우리 대중大衆은 여기에서 깨달아야 한다. 우리는 전문가라는 이유만으로 지금까지 그들을 믿어왔고, 사기꾼들이나 하는 거짓말을 하리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간혹, 그들의 말에 의문을 품기도 하지만, 그러한 일은 항상 있는 일로서, 무지無知한 대중이기 때문에 일어 날 수 있는 일이므로, 크게 문제 될 일이 아닐 뿐만 아니라, 그들의 권위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기초자료에 대해서까지 거짓말을 하고 있을 줄은, 꿈에서도 상상 하지 못했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유사역사학類似歷史學이니 뭐니 하며 자신들의 밥그릇을 지키기 위해, 진실을 갈구하는 대중을 매도罵倒하고 있다.

만약, 언문서적들이 중국에 내려진 것이 아니라면 중국인들이 반절이라 부를 이유가 없다. 밥벌레들의 주장대로, 문맹퇴치를 위하여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해 정음이 만들어졌다면, 결코 반절이라는 이름이 붙지 않을 것이다. 또, 한문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것도 목적 중에 하나였다라고 말한다 하더라도, 반절이라는 명칭이 붙을 이유는 없다. 중국인들이 동국에 와서 한글이 사용되는 것을 구경하고 중국에 돌아갔다고 하더라도, 동국인들이 한글을 한자발음의 표기에 사용하는 것을 봤다고 하더라도, 중국인들이 한글의 목적이나 그 쓰임 등을 잘 알지 못할 것인데, 설령 알았다 하더라도 훈민정음이나 언문이라는 이름을 다 놔두고, 어찌 반절이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인가? 그것은, 중국인들이 훈민정음의 목적이나 쓰임을 알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고 있었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훈몽자회에서 속인 즉, 중국인들이 언문을 반절이라 부른다는 것은, 일부 중국인이 그러하다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중국인들이 그렇게 부른다는 뜻이다. 따라서, 훈민정음이 한자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고, 중국에 내려졌기 때문에, 중국인들이 반절이라 이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운이나 역훈 등을 비롯한 여러 서적들에서 쓰이는 단어인 ‘속’은, 전부 다 중국을 가리키는 것이다.

다른 서적들에서는 ‘속’을 꼭 집어서 중국이라 하지 않았는데, 왜 훈몽자회만 꼭 집어 중국이라 하였을까? 다른 책들에서 그러한 것은, 동국이나 중국의 성인成人들은 이미 알 것은 다 알고 있으므로 굳이, 속이 무엇을 뜻하며 동국과 중국이 어떠한 관계인지에 대해, 설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훈몽자회는 동국의 어린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책이므로, 아직 세상 물정을 잘 모르는 아이들이므로, 당연히 속이 무엇을 뜻하는지 친절하게 가르쳐주어야 하는 것이다.

사성통고범례는, 원래의 훈민정음이 치두음과 정치음의 구별 없이 치음만을 표기했었는데, 사성통고 이후로는 치음을 치두음과 정치음으로 나누어 표기하겠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중국의 치두와 정치를 합하여 동국과 통하게 하려고 하였으나, 나중에는 원래대로의 치두와 정치로 놔두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즉, 애초에는 동국정운만 펴내기 위해 치음만 표기하려다가 홍무정운역훈도 펴내기 위해 치두와 정치도 표기하게 된 것이라는 말이다. 다시 말하자면, 애초에 훈민정음을 만들 때 동국정운을 펴내려고 마음을 먹었다는 뜻으로서, 동국정운과 홍무정운역훈, 사성통고가 같은 시기에 착수되었다 하더라도, 훈민정음을 처음 만들 때에는 동국정운만을 기획했다는 말이 된다.

학계는 세 운서의 착수시기를 동일하게 보고 있는데, 일부에서는 역훈이 정운보다 늦게 착수된 것으로 보고 있다. 추정하건대, 정운은 1447년에 편찬이 완료되어 1448년 10월에 간행되었는데 여러 정황상 그 착수 시기는 1444년 2월까지 소급되고, 역훈은 1455년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는데 8년 만에 완성되었다 하였으니, 그 착수 시기는 1447년이나 1448년쯤이 된다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성통고는 훈민정음(1443.12월)을 만든 이후 운서에 대한 세종 자신의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훈민정음의 반포(1446.9월) 이후부터 역훈의 착수(1447~8) 전까지의 사이에 기획되었다 할 수 있고, 완료된 시기는 동국정운(1447.9월) 이후부터 역훈의 착수(1447~8) 전까지의 사이로 추정할 수 있다. 사성통고가 역훈을 간략화한 것이 아니라, 역훈을 편찬하는데 있어 그 지침으로 사용된 것이 분명하므로 역훈 보다 그 시기가 앞서고, 애초부터 역훈을 편찬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또, 통고가 치음을 치두와 정치로 나뉘었으므로 나뉘지 않은 동국정운 보다는 착수시기가 늦다고 보아야 한다.

~且字母之作, 諧於聲耳。 如舌頭舌上、唇重唇輕、齒頭正齒之類, 於我國字音, 未可分辨, 亦當因其自然, 何必泥於三十六字乎~(동국정운서-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또 자모(字母)를 만든 것이 소리에 맞출 따름이니, 설두(舌頭)·설상(舌上)과 순중(唇重)·순경(唇經)과 치두(齒頭)·정치(正齒)와 같은 따위인데, 우리나라의 글자 음에는 분별할 수 없으니 또한 마땅히 자연에 따라 할 것이지, 어찌 꼭 36자(三十六字)에 구애할 것이랴.~

중국의 운서韻書에서 자음字音은 ‘자모字母+운모韻母+성조聲調’로서, 동국정운 이전까지의 중국의 자모字母는 36자字였었다. 그런데, 동국정운은 36자에 구애되지 않고 23자로 줄였다. 또, 동국은 치두와 정치의 구별이 없으니 치두와 정치를 구별하지 않고 치음만을 표기하겠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설두와 설상을 합하고 순중과 순경도 합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동국정운은 그렇게 만들어졌다. 동국의 한자음을 중국에 맞춘다면서, 중국의 36자를 23자로 줄이고 있다. 이는, 동국의 한자음을 중국의 한자음에 맞추겠다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한자음을 동국에 맞추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훈민정음이나 동국정운은 애초에 중국에만 내려 보낼 생각이었다는 말이 된다.

어쨌든 결국, 치음에 있어서의 표기법은 동국음인 치음(치두와 정치 사이의 음)과 중국음인 치음(치두, 정치)으로 나뉘게 되어, 세 가지의 치음 표기법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또, 훈민정음을 언해하여 동국에도 내리게 된 것이다. 그리고, 여러 가지 정황상 언해본은 역훈 보다 뒤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언해본은 1455년 이전으로 소급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맞다.

언해본이 동국에 내려진 것은 분명한데, 그에 비해 사성통고가 중국에 내려진 것인지 동국에 내려진 것인지 살펴보자. 위의 언해본과 범례의 내용을 보면, 언해본은 언해본을 읽는 사람이 ‘훈민정음’을 처음 접한다는 전제하에 만들어진 것이고, 사성통고는 사성통고를 읽는 사람이 ‘훈민정음’을 이미 접했다는 전제하에 만든 것이 된다. 따라서, 이미 정음을 접하였고 이제 통고를 접하는 사람은, ㅅㅈㅊ으로써 치음을 표기하고 있었을 것이다.

이제, 통고가 동국에 내려진 것이라 가정하자. 훈민정음이 애초에 동국인의 문맹퇴치를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라 하더라도, 한문의 발음을 표기하는 데에 있어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반절식 표기법의 발음기호인 한자 보다 더 선호되었을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리고, 동국은 치두음이나 정치음이 없고 치음만이 있어서, 정음을 배운 이후로 아무 문제없이 치음을 표기하고 있었다. 또, 치음만 있는 동국정운을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도 별 문제가 없었다. 그런데, 통고를 접하고 보니 아무런 설명도 없이 치음을 치두와 정치로 나누고 있다. (현대의 우리는, 추가된 내용이 있는 언해본을 알고 있고 당시의 정황을 알기 때문에 치두와 정치로 나누는 이유를, 중국음인 치두와 정치를 표기하기 위해서라는 것을 알고 있는 것이다.) 갑자기 치두와 정치를 익히라고 하니 황당할 수밖에 없다. 어찌하여 그 이유를 알게 되고, 사대모화를 위해 약소국의 백성이라는 설움을 억누르고 통고와 역훈을 받아들였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동국의 음과 가까운 동국정운은 실생활에서 멀어지다가 폐지되고, 동국의 음과 거리가 먼 역훈은 계속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설사, 동국인들이 철저한 사대사상을 가지고 있어서 정운이 폐지되고 중국의 음과 가까운 역훈이 계속 사용되었다 치자. 그런데, 지금의 한국어에 치두와 정치가 있는가? 치음은 사용하지 않고 치두와 정치만 사용했는데, 현재의 한국어에는 치음만이 사용되고 있다. 한문 생활에서는 치두와 정치를 사용하고 우리말에서는 치음만을 사용하는 것이 쉬운 일인가? 우리말에 있어 한자어는 분리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말을 사용할 때의 한자 발음은 치음을 쓰고 한문을 사용할 때의 한자 발음은 치두와 정치를 사용하는 것이, 얼마나 가능한 일이겠는가?

실제의 역사에서는 어땠는가? 동국정운을 사용하라고 강조했으면 했지, 무시하거나 소홀히 한 적이 없다. 정운을 높였으면 높였지 깎아 내리지 않았다. 홍무정운역훈은 원래의 홍무정운과 구별하지 않고 홍무정운이라 부르면서 계속 사용하였다. 이것은, 동국정운이 유야무야 된 이유는, 중국에 내려진 정운이 중국음과 괴리가 있었기 때문이지,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다. 

이번에는, 통고가 중국에 내려진 것이라 가정하자. 중국은 치두와 정치가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지난번의 정음에서는 치음만 표기할 수 있어서, 정음으로 중국의 한문 발음인 치두와 정치를 표기하는 데에 문제가 있었다. 실제 발음에는 치두와 정치가 있는데 그것을 정음으로 표기할 때는, 치두와 정치의 구별 없이 치음 한가지로만 표기하려니 문제가 없을 수가 없다. 치두와 정치의 구별이 없는 동국정운이 실생활과 멀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런데, 이번의 통고와 역훈에서는 치두와 정치를 표기할 수 있게 해주었으니 어찌 반갑지 않겠는가? 동국정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국의 치음을 익혀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게 되어, 중국의 발음과 괴리가 있는 동국정운은 멀어지게 되고, 치두와 정치가 있는 홍무정운(역훈)은 중국에서 계속 사용된 것이다.

실제, 조선의 역사에서도 동국정운은 16c에 들어 폐지되었고 홍무정운은 계속 사용되었다. 이것은 동국에서 일어난 일이 아니라 조선에서 일어난 일이다. 폐지되었다는 말은 유야무야 되었음을 뜻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은 허준이 개인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왕명에 의해 즉, 동국東國이 만든 의학 서적이다. 대중들은, 동의보감이 동국, 한반도의 의술이 담긴 책으로 알고 있으나 이는 오해이다. 동의보감은 천하의 주요한 의서들을 모아 편찬編纂한 것이다. 동의보감이 중국, 일본, 월남 등으로 퍼진 이유는 ‘훌륭한 의서’이기 때문이 아니라 동국에서 만들었기 때문이다. 훌륭하다는 소문이 나서 퍼진 것이 아니라 동국에서 내려 보냈기 때문에 퍼진 것이다(廣布中外). 동의보감이 훌륭하지 않다는 뜻이 아니라, 그것과는 상관없이 동국이 만들었기 때문에 천하에 널리 퍼졌다는 말이다. 또한, 동국이 만든 것은 훌륭한 것이어야 한다는 뜻도 된다. 동의보감은 애초에 만들 때부터 천하에 퍼뜨리기 위해 만들었는데, 동국은 그러한 책무가 있다. 중외中外는 국어사전에 <중외中外 : 1. 안과 바깥 2. 우리나라와 딴 나라 3. 조정朝廷과 민간民間 4. 서울과 시골, 경향京鄕>이라 나와 있는데 이는 20c에 들어서서 만들어진 뜻이고, 원래는 어떤 뜻이 맞을까? 중외는 ‘중국과 그 바깥’을 뜻하는 말이지, 다른 뜻이 있는 것이 아니다.

첫 문장을 정확하게 해석하지 못한 이들도 여러 가지 정황을 살펴보고, 훈민정음이 한자음정립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냐라며 어느 정도 추정하지만, 추정만 할뿐 그것으로 끝이다. 그래서, 훈민정음의 정체나 목적을 밝혀내지 못 하고 변두리에 머무는 것이다. 그런데, 훈민정음의 정체나 목적을 밝히는데 있어서는, 첫 문장 보다도 두 번째 문장이 더욱 더 중요하다. 첫 문장은, 그 해석을 제대로 하지 못 하더라도 여러 운서들이나 당시 정황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는 추정해낼 수 있는 내용이다. 그러나, 첫 문장을 해석하지 못 하면서 두 번째 문장을 해석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또, 어찌어찌하여 첫 문장을 제대로 해석하고 두 번째 문장도 제대로 해석하였다 하더라도, 필자의 해석과 같은 해석을 하였다 하더라도 기존의 지식들과 너무나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해석이 잘못되었다라고 생각하게 된다.

지금까지 수많은 사람들이 서문을 해석하기 위해 노력해왔지만, 이렇게 해석해도 저렇게 해석해도 완벽하게 해석되지 않아, 요즘에는 별 희한한 얘기까지 떠돌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이 저 중국이 아니라 하며 조선 즉, 이씨조선이 중앙아시아에 있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동국과 중국을 구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동국과 중국의 관계에 대해서는 까맣게 모르고 있으며, 동국의 정체에 대해서는 아예 고려조차 하지 못 하고 있다. 또, 과거의 흔적을 찾아낸 것은 좋으나 흔적은 흔적일 뿐이다. 동국 즉, 이씨조선의 동국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에 있었다.

대륙에 비해 좁디좁은 땅인 한반도에 자리 잡은 동국, 그 동국의 정체를 알지 못하고서는 서문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없다. 독자들이 품는 의문은 동국과 동국의 왕에 대한 정체성을 모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어린 백성’이 중국의 백성을 가리킨다는 것은, 첫 문장에서 유추해보아 이미 알겠지만 두 번째 문장에서는 이를 확실하게 드러내고 있다. 동국의 왕인 세종은 중국대륙 즉, 천하天下를 남의 것으로 보지 않고 있다. 마찬가지로 중국백성도 자신의 백성으로 여기고 있다.

사실, 동국의 정체 같은 것을 알든 모르든 한국어가 모국어인 사람이라면, 당연히 이렇게 해석해야 한다. 말이 되고 안 되고, 해석된 내용을 이해하고 못 하고는 그 다음 문제이다. ‘아버지-가방에-들어가셨다’라는 문장이 있을 때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당연히, 눈에 보이는 대로 ‘아버지께서-가방(bag)에-들어가셨다’라고 읽고 그 해석은, 주격조사의 높임말인 ‘~께서’가 생략되어 있다고 보아서 ‘아버지께서 빚쟁이에게 쫓겨 가방에 숨으셨다, 아버지께서 숨바꼭질 때문에 가방에 숨으셨다’ 등으로 해석하는 것이 맞지 않겠는가? 그런데, 학자라는 이들은 해석을 먼저 하고 있다. 멀쩡한 아버지가 왜 가방에 들어가겠느냐며 ‘아버지가-방(room)에-들어가셨다’라고 읽고 있다. 분명히 ‘아버지’와 ‘가방에’가 띄어져 있고, 서술어가 ‘갔다’가 아니라 ‘가셨다’이므로 당연히 ‘아버지가’가 아니라 ‘아버지께서’가 아니겠는가? 서문을 해석하는데 있어, 모든 사람들이 이와 같은 잘못을 범하고 있다. 해석을 먼저 하지 말고, 눈에 보이는 대로 먼저 읽고 난 다음에 해석을 해야 하는 것이다.

해석이 틀린 것과 해석된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 만약, 필자의 해석이 틀리다면 어디가 어떻게 틀린지 구체적으로 말하라. 해석된 내용이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 된다 하여, 무조건 틀렸다라고 우기면 안 된다. 자신들이 필자의 해석을 이해하지 못 하는 것을, 필자에게 그 책임을 떠넘기지 말라. 이해가 안 되면 이해할 수 있도록 공부를 하면 되는 것이다.

훈민정음을 만들게 된 명분으로 삼은 것이, 동국의 임금인 세종과 중국의 백성인 신하臣下(사신使臣)가 서로 언어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이다. 마냥 통역으로만 대화하기에는 임금인 자신이 더 답답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하여, 왕도정치를 표방하는 임금의 체면으로서 ‘왜 내 말을 알아듣지 못 하냐, 내가 알아들을 수 있게 말하라’라고 채근採根할 수도 없고, 백성을 보살펴야 하는 책임이 임금에게 있으므로, 백성이 임금에게 자신의 뜻을 제대로 전하지 못 하는 것이 불쌍하다라고 명분으로 삼은 것이다. 마찬가지로, 동국인과 중국인의 언어소통을 위하여 훈민정음을 만드는 것이지만, 동국인과 중국인의 언어소통을 위해 만든다라고 말하는 3자적인 태도보다는, 당사자로서 직접적인 왕도정치를 펼치는 모습이 더 좋아 보일 수 있다. 명분이 그렇다는 것이고, 임금인 세종으로서는 당연히 해야 될 수많은 정치행위 중에 하나일 뿐이다. 다시 말하자면, 한자음통일이나 언어통일, 문자통일이라는 정치행위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치자治者라면 당연히, 항상, 먼저 고려하는 것들 중에 하나일 뿐이라는 말이다.

세 번째 문장은 평이平易하므로, 굳이 본인의 해석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딱 한 자의 해석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하다.

予 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 易習 便於日用矣   내 이 위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짜 맹노니 사마다 해여 수비 니겨 날로 쑤메 뼌안킈 고져  미니라

위차爲此는 ‘(두 번째 문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이다. 민憫은 ‘불쌍하다, 딱하다, 안타깝다’ 등의 뜻으로 해석되지만, 언해본의 ‘어엿비’는 앞에서도 얘기했듯이 중세나 현대, 의미변화 없이 ‘예쁘다’라는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따라서, 민연憫然은 ‘백성을 예뻐하여, 백성을 예쁘게 여겨’이다. 결국, 위차민연爲此憫然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백성을 예뻐하여’가 된다.

현재의 우리가 고전을 해석함에 있어 오류를 범하는 일이 가끔 있는데, 그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이자동의의 용법을 모르는 데에서 오는 것이다. 한자漢字의 특징 중에, 하나의 글자가 여러 뜻을 가지는 경우와 여러 글자가 하나의 뜻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앞의 경우는, 한자를 조금이라도 접해본 사람이라면 동서東西를 가리지 않고 모든 사람들이 잘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뒤의 경우인 이자동의異字同意(동의이자同意異字)는 한문을 전문으로 공부하는 사람도 그 중요성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한문을 해석하는 데에 있어 그 한 자 한 자의 뜻을 풀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자동의인 경우 그 원래의 뜻을 알아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그런데,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이를 간과看過하고 있다. 그래서, 제制를 제製로 해석하여 훈민정음의 본뜻이나 스물여덟 자의 정체를 왜곡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강단학계는 제製로 해석하여 스물여덟 자를 세종이 창제創製하였다고 말하고 있고, 재야학계는 ‘신新’에 주목하여 이른바 ‘가림토’인 구舊에서 스물여덟 자가 기원한 것이라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신제新制는 두 주장들과는 전혀 뜻이 다르다.

신新은 구舊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서 대개 세 가지의 뜻으로 쓰인다. 예를 들어, ‘새 자동차를 갖다’에서 ‘새’가, 이미 가지고 있던 자동차에 대하여 새로이 생기는 자동차를 말하는 경우와, 중고차中古車가 아닌 새 차를 사는 경우, 그리고 중고를 수리하여 새 자동차처럼 만드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의 신新은 당연히 첫 번째의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서, 기존旣存의 한자漢字에 대하여 새로운 문자를 의미한다. 두 번째의 경우는, 옛날에도 그러한 개념이 있었을 수 있겠지만, 중고에 대한 새것이라는 의미로서의 쓰임이 보편화된 것은 현대에 들어서이다. 세 번째의 개념은 원래의 신新이 갖고 있는 개념이라 할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 개념이다. 가림토가 있었다고 가정할 때 그 가림토를 새롭게 다시 만드는 것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개념으로 쓰였든지 간에 한자의 발음표기에 있어, 그 발음기호를 한자에서 한글로 교체하겠다는 것이므로, 한글의 기원이 가림토에 있다고 하더라도, 여기에서의 신新이 결코 가림토의 존재를 증명해주지는 않는다. 오히려, 강단학계의 주장대로 문맹퇴치를 위해 한자를 대체하여 훈민정음이 만들어졌다는 해석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제制는 ‘~을 만들다, ~이 만들다’가 아니라 ‘~의 틀(형식形式·型式, 제도制度)을 만들다, ~이 틀을 만들다’이다.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이자동의는 서로 그 뜻이 분명 다르므로 함부로 바꿔 쓸 수 없다. ‘~을 만들다, ~이 만들다’는 제製이다. 국어사전을 뒤져보면, 제制는 제재制裁, 재제宰制, 제도制度, 복제服制, 제압制壓, 제어制御, 제공권制空權, 전제專制, 절제節制, 제규制規, 법제法制, 체제體制 등에 쓰여, 단순히 어떤 사물을 만들다는 뜻으로 쓰이지 않고, ‘어떤 형식이나 규칙을 만들거나 어떤 대상을 지배하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반면에 제製는 제작製作, 봉제縫製, 제약製藥, 제조製造, 제강製鋼, 법제法製, 제품製品 등에 쓰여 ‘어떤 사물을 만들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언해본의 첫머리에 ‘세종어제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훈민정음訓民正音 어제왈御製曰하샤대’라 하여 훈민정음이라는 책을 세종이 직접 지었다(만들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신하들이 보충하거나 손질을 하였을 수 있으나, 그 기본적인 방침이나 내용은 세종이 직접 창안創案한 것이 확실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스물여덟 자를 한자의 발음표기에 사용하는 제도를, 세종이 직접 창안하고 시행한 것은 틀림없는 역사적 사실이다. 그러나, 훈민정음이라는 정책에 이용한 스물여덟 자를, 세종이 직접 만들었다는 것은 사실이라 할 수 없다. 그 어디에서도 세종이 스물여덟 자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없다. 지금 여기에서도 신제新制라 하였으며, 최만리 등의 상소문을 비롯해 그 어디에서도 제製라고 기록된 것이 없다. 훈민정음이라는 정책을 제制한 것이지, 스물여덟 자를 제製한 것은 아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른바 한글이라는 것이 훈민정음과는 별개의 것이라는 말이 된다. 물론, 훈민정음이 현 한국인들의 한글 사용에 얼마나 영향을 끼쳤는가는 또 다른 문제이다.

신제新制는 ‘새로 ~의 제도를 만들다’는 뜻으로서 신제이십팔자新制二十八字는 ‘(한자의 발음표기를 위해) 새로 스물여덟 자를 제도화制度化 했다’라고 해석해야 한다. ‘법法을 만들다’는 법이라는 그 자체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어떤 분야의 법을 만든다는 뜻이므로, 한자로 표기하면 ‘법제法制, 제법制法’이 되어 ‘법률과 제도, 법률로 정해진 제도, 제도를 규정한 법률’이라는 뜻이 되지, ‘법제法製, 제법製法’이 되지 않는다. 물론, 법제法製, 제법製法이라는 단어가 있지만, 이는 ‘어떤 물건을 만드는 방법’을 뜻하는 것으로서 ‘법을 만들다’라는 뜻으로 쓰이지 않는다. 따라서,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나니’는 ‘새로 스물여덟 자를 제도화하니’라는 뜻이 되는 것이다.

욕사인인欲使人人은 ‘사람들로 하여금 ~하게 하고자 하다’이다. 이습易習은 ‘쉽게 익히다’이고 편어일용의便於日用矣는 ‘날로 사용함에 편할 따름이다’이다.

언문본의 ‘내 이 위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짜 맹노니 사마다 해여 수비 니겨 날로 쑤메 뼌안킈 고져  미니라’는 현대 한국어로 ‘내가 이를 위하여 예쁘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날로 사용함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다’이다.

‘予爲此憫然新制二十八字欲使人人易習便於日用矣, 내가 이를 위하여 예쁘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날로 사용함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다’는 ‘임금인 내가, 말이 안 통하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백성을 예뻐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이를 사람들이 쉽게 익혀 날로 사용하게 하여, 문자생활을 편안하게 하고자 한다’이다.

세 번째 문장은, 해석하는 데에 특별한 어려움이 없고 단지, ‘신제新制’의 해석만 주의하면 된다. 해석을 정리하면 이렇게 된다.

予 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 易習 便於日用矣(여 위차민연 신제이십팔자 욕사인인 이습 편어일용의)
내 이 위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짜 맹노니 사마다 해여 수비 니겨 날로 쑤메 뼌안킈 고져  미니라

내 이를 위하여 예쁘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나니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날로 씀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이것에 사족을 달면, ‘임금인 내가, 임금과 백성이 서로 말이 안 통하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백성을 예뻐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한자의 발음표기에 사용하게 하니,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서 날로 사용하여, 문자소통을 편안하게 하고자 한다.’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문 전체에 사족을 달아 보겠다.

=======
나랏 말미 듕귁에 달아 문와로 서르 디 아니쌔
나랏 말소리 듕귁과 달라 문로 더브러 서르 흘러통티 몯논디라

이런 젼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져 홀 배 이셔도 내 제 뜨들 시러 펴디 몯  노미 하니라

내 이 위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짜 맹노니 사마다 해여 수비 니겨 날로 쑤메 뼌안킈 고져  미니라


나라의 말씀이 중국에서 다르고 문자로도 서로 잘 맞지 아니 할세
나라의 말소리가 중국과 다르고 문자도 함께 서로 잘 통하지 못 하는지라

이런 까닭으로 어린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실어 펴지 못 하는 놈이 많으니라

내 이를 위하여 예쁘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나니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날로 씀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동국어가 중국의 동국어와 달라서 동국과 중국이 말로 통하지 않고, 문자어로도 동국과 중국이 서로 잘 맞지 아니 할세
동국어의 발음이 중국의 동국어 발음과 달라서 동국과 중국이 말로 통하지 않고, 문자어도 함께 동국과 중국이 서로 잘 통하지 못 하는지라

이런 까닭으로, 어린 중국의 백성이 동국의 임금인 나에게 말하고자 할 바가 있어도, 끝내 백성 자신의 뜻을 말에 실어 펴지 못 하는 놈이 많으니라

임금인 내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백성을 예뻐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문자의 발음표기로 사용하게 만드니, 이를 사람들이 쉽게 익혀서 날로 사용하여, 문자어의 소통을 편안하게 하고자 한다’
=======

훈민정음의 서문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사실들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는 훈민정음이 한문의 발음표기를 위해 만들어졌다는 것이고 둘째는, 그 훈민정음이 중국에 내려졌다는 것이고 셋째는, 훈민정음의 스물여덟 자를 만든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최만리 등의 상소문’에서 이 세 가지를 다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물여덟 자가 어디에서 기원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또, 세종이 훈민정음만을 만든 것이 아니라, 스물여덟 자를 문맹퇴치에 사용하였다는 것도 알게 된다.

이제, 독자들에게 여러 가지 의문들이 떠오를 것이다. 예상되는 질문들을 정리하면 이렇게 될 것이다.

1. 중국인이 세종의 백성인가?
2. 속국의 왕인 세종이 종주국의 백성에게 그러한 것을 행할 수 있는가?
3. 설사, 세종이 그러한 일을 행했다 하더라도, 중국의 황제와 백성이 순순히 받아 들였겠는가?
4. 세종은 자국 백성을 놔두고 왜 타국의 백성을 위하는가?
5. 중국인을 위해 훈민정음을 만들었는데, 한글이 왜 중국이 아닌 한국에 있는가?

1~4의 의문은 동국과 동국 왕의 정체를, 동국과 중국의 관계를 알게 되면 쉽게 풀린다. 5는 언문의 정체를 알고, 근·현대사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어야 풀리는 의문이다.

이제 드디어, 훈민정음 서문의 해석을 다 끝냈다. 풀이를 한답시고, 별 것도 아닌 것을 이렇게 길고도 길게 주저리주저리 늘여놨으니 부끄러울 따름이다. 혹자는 말도 안 되는 엉터리라고 비난할 수도 있고, 정말로 대단하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칭찬이든 비난이든, 이런 일로 말을 들을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누구처럼 전 재산을 털고 평생을 바쳐 발굴을 한 것도 아니며, 대단한 배움이 있어야 할 수 있는 일을 한 것도 아니다. ‘해석’이라는 말을 쓴다는 자체가 창피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한국어가 모국어인 사람이라면 누구나 쉬이 할 수 있는 일인데, 어찌하여 백년이 넘게 거짓 속에 살고 있어야 했는지, 안타까울 뿐이다.

'얼(뿌리를 찾아서) > 국학(國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일신고  (0) 2017.12.11
훈민정음 반대 최만리 상소문  (1) 2017.12.04
국학원 설경  (0) 2017.11.24
강릉 오죽헌 입지문  (0) 2017.10.26
한복 그림모음  (0) 2017.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