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한잔의 여유(餘裕)/비움과 채움

시련을 거쳐야 성숙해 진다

양해천 2024. 1. 12. 09:23

사랑하며 감사하는 삶

시련을 거쳐야 성숙해 진다.

젊은 어부가
바다에서
고기를 잡고 있었는데
'해초'가 많아
고기를 잡는데
방해가 되어서
이렇게 말했다.

“독한 약을
풀어서라도
해초를
다 없애 버려야지!”

그 말을 듣고
늙은 어부가 말했다.

“해초가 없어지면
물고기의
먹이가 없어 지고,
먹이가 없어 지면
물고기도
없어 진다네.”

우리는
'장애물'이 없어지면
행복할 것으로 믿지만
그러나
'장애물'이 없어지면...
장애를
극복 하려던 의욕도
함께 없어지게 된다.

오리는
알 껍질을 깨는
'고통의 과정'을 겪어야만,
살아갈 힘을 얻지만,
알 깨는 것을 도와 주면
그 오리는
몇 시간이
못 가서 죽는다.

우리의 삶도
'시련'이 있어야
윤기가 나고,
생동감이 있게 된다.

남태평양
'사모아 섬'은
바다 거북들의
산란 장소로 유명한데
봄이면
바다 거북들이
해변으로 올라 와서
모래 구덩이를 파고
알을 낳고
깨어난 새끼들이
바다를 향해
새까맣게 기어가는
모습은 장관을 이룬다.

한번은 해양 학자들이
산란기 바다 거북에게
진통제를 주사해서
거북은
고통없이 알을 낳았지만,
거북이는
제가 낳은 알을
모조리 먹어 치워버렸다.

과학자들은
고통없이
낳은 알이라
모성 본능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만약
밝은 대낮만 계속 된다면,
사람들은 며칠 못 가서
다 쓰러지고 말 것이다.
누구나
어둠을 싫어 하지만...
어둠이 있기에
우리는
살아 갈 수 있는 것이다.

낮도 밤도
모두~ 꼭 필요한
삶의 일부인 것이다.

다들 좋은 일만
가득하기를
기대하고 소망하는데
그러나
어둠이 있어야
빛이 더욱 빛나듯
시련이 있어야
삶은
더욱 풍요로워 집니다.

살아 가는 동안
경험하는
수 많은 시련 중에
내가 이겨 내지
못할 것은 없습니다.

앞으로
살아 가는 동안
수많은 시련들이
닥쳐 올것이고,
때론 그 시련들을
피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못할 때가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 시련을 통해서
우리들의 삶이
더욱 더 윤기가 나고,
또 다른 행복감을
안겨다 줄 것이다.

그러므로
내일을 위해
오늘 다가오는
어떠한 시련도
좌절하거나
염려하거나
근심하지 말고
꿋꿋하게 헤쳐
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도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시련, 고난, 고통을 겪으며
성숙해지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긍정적 사고:
어려움을
성장의 기회로 바라보세요.

2. 감정 표현: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스스로를 이해하세요.

3. 자기 반성:
경험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배우세요.

4. 탄력성 강화:
어려움을 극복하는
내면의 힘을 길러주세요.

5. 지원 체계 구축:
가족, 친구,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

6. 목표와 의미 찾기:
고난을 통해 인생의
목표와 의미를 찾으세요.

7. 건강 관리: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8. 일기 쓰기 또는 예술 활동: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창의적인 방법을 찾으세요.

이러한 방법들은
시련과 고통을 통해 성장하고,
인생에서 더 깊은 의미와
성숙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차 한잔의 여유(餘裕) > 비움과 채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24.01.12
인생사  (0) 2024.01.12
좋은 아침  (0) 2024.01.11
기적을 사는 삶  (0) 2024.01.11
희망(希望)의 끈  (0) 2024.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