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한잔의 여유(餘裕)/인체의 신비 24

듣는 뇌, 측두엽

듣는 뇌, 측두엽 자료출처 : 브레인월드 http://brain.brainworld.com/front/page/BrainKeek/TemporalLobe.aspx?menu=6&category=Keek 측두엽 Temporal Lobe 측두엽은 그 이름이 말해주듯이 측두골(관자놀이뼈)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측두에 해당하는 용어 ‘Temporal’은 라틴어 ‘Tempus’에서 온 말로 ‘Time(시간)’을 의미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관자놀이 부근의 머리카락이 가장 먼저 회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붙여진 용어다. 측두엽을 대표하는 기능은 청각정보 처리다. 청각정보를 처리하는 영역이 측두엽에 있고, 이 영역에 손상이 생기면 귓속의 청각기관에 아무 문제가 없는 경우에도 청각정보를 제대로 처리할 수 없게 된다. 예..

보는 후두엽

보는 후두엽 자료출처 : 브레인월드 http://brain.brainworld.com/front/page/BrainKeek/Occipital.aspx?menu=5&category=Keek 후두엽 Occipital Lobe 후두엽은 대뇌피질의 가장 뒤쪽에 위치하며, 영역도 가장 작다. 기능의 대부분은 눈에서 들어오는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것이다. 후두엽의 시각중추를 일차시각피질(primary visual cortex)이라고 한다. 후두엽에서 처리된 시각정보는 두정엽과 측두엽 두 갈래의 경로로 나뉘어 전달된다. 두정엽으로 가는 배측(dorsal) 경로에서는 물체의 위치, 빠르기, 거리 등 움직이는 것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와 그에 대한 눈의 움직임이나 몸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처리한다. 측두엽으로 가는 복측(..

느끼는 두정엽

느끼는 두정엽 자료출처 : 브레인월드 http://brain.brainworld.com/front/page/BrainKeek/Parietal.aspx?menu=4&category=Keek 두정엽 Parietal Lobe 두정엽은 대뇌피질의 중심고랑 바로 뒤편에 위치한다. 촉각, 공간감각 등을 지각하며 시각에서 대상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부위다. 두정엽은 6세 이후에 본격적으로 발달하여 이 시기부터 수학학습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아인슈타인의 뇌가 일반적인 뇌와 다른 양상을 보인 부위가 바로 두정엽이다. 아인슈타인의 뇌는 두정엽의 하단 부위가 평균보다 15% 더 크고 신경세포가 조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연구에서 영재를 구분할 수 있는 뇌 부위로 두정엽의 후두정피질(posterior parietal ..

대뇌변연계의 최전선 대상피질

대뇌변연계의 최전선 대상피질 자료출처 : 브레인월드 http://brain.brainworld.com/front/page/BrainKeek/CingulateCortex.aspx?menu=3&category=Keek 대상피질은 옷의 깃이나 띠처럼 뇌량(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신경다발)의 주위를 감싸고 있다. 전측 대상피질은 전두엽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측 대상피질이 다양한 인지기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신피질 구조로 간주해야 한다는 논쟁이 일기도 했다. 대상피질은 피질하 부위와 대뇌피질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감각 자극을 정서적인 색채(시야 주변부에서 언뜻 움직인 것이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가지인지 아니면 강도인지를 느낌으로 구분하는 것)와 연결하는 접점의 역할을 하고, 이에 ..

숨어있는 대뇌피질 뇌섬엽

숨어있는 대뇌피질 뇌섬엽 자료출처 : 브레인월드 http://brain.brainworld.com/front/page/BrainKeek/BrainInsula.aspx?menu=2&category=Keek 뇌섬엽은 전두엽과 두정엽, 측두엽에 의해 덮여 보이지 않는 대뇌피질 부위다. 대뇌피질이 외측고랑을 중심으로 접혀들어가면서 생성된 뇌섬엽은 대체적으로 위쪽은 넓고 아래쪽은 좁은 역삼각형 형태이다. 뇌섬엽은 외부세계를 경험하고 인식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한다. 내부적, 외부적으로 일어나는 상황을 뇌가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관여하며, 자기 자신을 인식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어떤 일을 경험하기 전에 미리 예상하는 능력과도 관련된다. 또한 뇌섬엽은 어떤 사람의 말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파악하는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