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뿌리를 찾아서)/국학(國學) 자료 88

아리랑

자료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2884&cid=41708&categoryId=41711 국어국문학자료사전아리랑구분민요목차지역적 분포역사의 변화신민요아리랑의 파장여러가지 후렴과 그 어원론시형식과 수사장단과 가락다양성과 초역사성한국의 대표적인 전통민요의 하나. 아리랑이란 명칭은 '아리랑······’ 또는 '아라리······’ 및 이들의 변이를 여음(후렴 또는 앞소리)으로 지니고 있는 데서 비롯되었다. 아리랑은 전국에서 고루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널리 퍼져 있어서 이른바 을 비롯하여 등의 이름이 쓰이고 있을 정도이며, 멀리 소련의 카자크스팅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교포들의 아리랑도 전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확인할 수 있는 가요들을 토대로..

훈민정음 해례본 원문과 번역

훈민정음 해례본 원문과 번역| 맞춤법과표준어(전출수)강대관|조회 6998|추천 0|2011.10.10. 19:17 훈민정음 해례본 원문과 번역 ※ 訓民正音 解例本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 * 例 義 - 序文 : 1면~1면6행 (御旨) - 本文 : 1면7행~7면 (音價 · 運用法) * 解 例 - 制字解 : 9면~36면4행 - 初聲解 : 36면5행~38면6행 - 中聲解 : 38면7행~42면1행 - 終聲解 : 42면2행~48면1행 - 合字解 : 48면2행~56면1행 - 用字例 : 56면2행~60면3행 -鄭麟趾序文 : 60면4행~66면 훈민정음 해례본(1446.9.상한) 훈민정음 해례본 예의편 國之語音(국지어음).이 異乎中國(이호중국).하야 與文字(여문자)로 不相流通(불상유통).할새 故(고)로 愚民(우민)..

농은본 천부경의 출현

자료출처 : http://blog.daum.net/costmgr/10395 농은본 천부경의 출현 1. 개요 [농은본 천부경] * ‘天符經’이라는 글자와 낙관은 훗날 삽입한 것이라고 해요. 현재까지 알려진 천부경은 다음과 같이 5종이 있습니다. ① 묘향산 석벽본: 운초(雲樵) 계연수(桂延壽)가 발견 ② 태백일사본(太白逸史本): 이맥의 에 실려 있음 ③ 최고운(崔孤雲:최치원) 사적본(事蹟本): 최문창(崔文昌)전집에 나옴 ④ 노사전(蘆沙傳) 전비문본(篆碑文本): 蘆沙 奇正鎭 ⑤ 농은본(農隱本) 이중 ①과 ②는 완전히 일치해요. 농은본과 각본과의 차이 부분을 비교하면 다음 표와 같아요. 농은본태백일사본 묘향산 석벽본최고운 사적본노사전 전비문본新三極析三極碩三極析三極鉅無?鉅無?鉅無愧鉅無?從三化三化三化三大氣合大三合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