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한잔의 여유(餘裕)/비움과 채움 545

죽음, 삶을 가르치다

⚛ [ 죽음, 삶을 가르치다 ] 인도의 수도 델리에서 자동차로 꼬박 나흘을 달려 찾아간 인도 서북부 히말라야. 자동차 길로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다는 해발 5,360m의 타그랑고개. 지대가 너무 높아 아무것도 자라지 않는 갈색의 민둥산이 아득하게 이어졌다. 산소가 적어 보통 사람은 숨쉬기조차 힘든 언덕 너머엔 2,000년 동안 이곳을 지켜온 록파족이 살고 있다. 구름마저도 험준한 히말라야를 넘지 못해 거의 비가 내리지 않는 곳이다. 영하 40도의 맵찬 날씨를 견디도록 집은 돌로 쌓았는데, 록파족은 겨울철인 10월에서 3월까지만 이곳에서 생활한다. 나머지 반년은 보름에 한 번씩 자그마치 열두 번이나 가축들을 몰고 풀을 찾아 여기저기 떠돈다.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그들, 의식주 모두가 열악하기 ..

나보다 더 소중한 사람

굿모닝,,, 나보다 더 소중한 사람,, 땅콩 껍질을 까다가 소중(所重)한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껍질 속 두 개의 알은 대개 크기가 비슷하지만 어쩌다 한쪽 알이 유난히 크면 상대적으로 다른 한 알은 아주 작다는 사실에. 한 개의 땅콩 껍질 속에서 하나가 크면 다른 하나가 작아질 수 밖에 없는 균형(均衡)의 원리는 우리 삶 속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원리(原理)요, 진리(眞理)가 아닐까요? 나폴레옹이 어렸을 때입니다. 어머니 레티티아는 나폴레옹을 크게 야단쳤습니다. 식탁에 놓아둔 과일을 허락도 없이 먹어버렸다는 것입니다. 나폴레옹은 아니라고 말했지만 어머니는 오히려 거짓말까지 한다고 방에 가두어 버리기까지 했습니다. 나폴레옹은 말없이 이틀이나 갇혀 있었고, 이틀 후에 그 과일은 나폴레옹의 여동생이 먹었다는 것도..

마음먹은 대로 생각한 대로

마음먹은 대로 생각한 대로 -부와 성공을 부르는 유대인의 지혜 1, 한 가난한 농부가 어느 날 마을의 랍비에게 찾아가 눈물을 글썽이며 호소했다. “우리 집은 게딱지만 한데 아이들은 주렁주렁 딸렸고 제 아내같은 악처도 없을 겁니다. 아마도 이 나라에서 제일가는 악처일 것입니다. 아, 저는 어떡하면 좋을까요?” 2, “자네 염소를 가지고 있는가?” “물론이죠.” “그렇다면 염소를 집 안에 들여놓고 기르게나.” 농부는 의아한 얼굴을 하고 돌아갔다. 이튿날 다시 찾아와 말했다. “랍비님, 도무지 살 수가 없습니다. 악처에다 염소까지.... 더는 못 참겠습니다. 3, ”자네 닭을 기르고 있는가?“ ”물론입니다.“ ”그럼 닭을 전부 집 안에 들여 기르게나.“ 농부는 또다시 의아한 표정으로 돌아갔다. 그러고는 이튿날..

위대한 인생 승리자

위대한 인생 승리자 자연은 남겨야 할 것과 남기면 안 되는 것을 구분합니다. 지워야 할 것과 지우지 않아야 할 것, 그 지혜를 계절은 분명히 가르칩니다. 그러나 인간은 필요없이 남기는 게 많습니다. 많은 축적, 무분별한 미련이 오늘날 모든 모순과 불화의 원인이 아닌지. 우리가 가는 길은 진정한 제자리로 돌아오기 위한 길입니다. 가야 할 때를 알고 간다는 것은 가난한 심령을 말합니다. 뒷모습이 맑은 사람은 그 영혼이 환할 것입니다. 이 지상을 떠날 때 나도 아름다운 뒷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까요. - 김수우, 윤석정의 《백년어》 중에서 - 꽃은 자신을 떨구어 말끔히 지워냄으로써 열매를 잉태합니다. 매미와 뱀은 허물을 벗고 새 몸을 얻습니다. 버리는 것과 얻는 것은 모두 자연의 섭리입니다. 버려야 얻습니다. ..

우리가 기피하는 숫자 '4(四)'의 뜻

우리가 기피하는 숫자 '4(四)'의 뜻 우리가 기피하는 숫자 '4(四)'는 지상(地上)의 세계(世界)를 뜻하는 숫자입니다. 조물주께서는 4를 염두에 두고 모든 만물을 창조하셨다고 합니다. ​ 나를 둘러싸고 있는 완전한 상태를 하나로 묶은 망라하는 숫자 을 상징(象徵)합니다. ​ '4(四)'에서 비롯되는 것으로는 "東西南北"의 기본방위(基本方位)이며, "春夏秋冬"의 4계절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면서,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을 만듭니다. ​ 어두운 밤하늘을 밝히며 많은 이들 가슴에 소망을 담아주는 달(月)은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로 4가지 모양을 달리합니다. ​ "물, 불, 공기, 흙"은 고대 철학자가 주장한 만물을 구성하는 4원소입니다. ​ 공간으로 측정하려면 4가지 방법을 써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