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장 부터는 소부도지(小符都誌)라 한다.
[원문]
第二十七章
殷之亡人箕子 率敗軍難民逃來於符都之西
은지망인기자 솔패군난민도래어부도지서
爲名 行唐虞之法 用五行三正 施洪範巫咸
위명 행당우지법 용오행삼정 시홍범무함
與天雄之道 固不相容
여천웅지도 고불상용
殷之軍民 武壓符都之遺衆 遺衆 遂封禁明地之壇 避住於東海之濱
은지군민 무압부도지유중 유중 수봉금명지지단 피주어동해지빈
卽昔世斯禮筏之空地也 斯禮筏者 長旆 曠野之謫人
즉석세사례벌지공지야 사례벌자 장패 광야지적인
朝揭暮藏 使遠居之守者 知其不逃也
조게모장 사원거지수자 지기부도야
乃設六村與隣接諸族 分擔共守 各稱韓而保之 韓者保衛之意
내설육촌여인접제족 분담공수 각칭한이보지 한자보위지의
北馬南弁東辰之三韓 自行部族之治固守先世之道
북마남변동진지삼한 자행부족지치고수선세지도
爾來千年之間 不納殷箕之法 專以保防爲事殆無餘力
이래천년지간 불납은기지법 전이보방위사태무여력
於是 夏土爭奪之風 漸次激眼搖混亂 波及於三韓
어시 하토쟁탈지풍 점차격심동요혼란 파급어삼한
是時 六村之人相謀 以爲西禍漸迫 保守將危不可不統合防備
시시 육촌지인상모 이위서화점박 보수장위불가불통합방비
遂限境設塞 推擧赫居世 委任統御之事 諸族 亦擧首領而防備
수한경설색 추거혁거세 위임통어지사 제족 역거수령이방비
南曰百濟 北曰高句麗
남왈백제 북왈고구려
高句麗仍卽恢復北堡之地
고구려잉즉회복북보지지
驅遂西侵之人 完保其域
구수서침지인 완보기역
[해설]
제27장
은(殷)의 망명자 기자(箕子)1)가, 패한 군사와 난민을 이끌고, 부도의 서쪽에 도망하여 왔다.
명예를 위하여 당우(唐虞)의 법을 행하고,
오행 삼정(五行三正)을 써서,
홍범 무함(洪範巫咸)을 시행하였다.
천웅(天雄)의 도(道)와는 절대로 서로 용납할 수 없었다.
은의 군민(軍民)이 무력으로 부도의 유중(遺衆)을 억압하므로,
유중이 마침내 명지(明地)의 단(壇)을 봉해버리고, 동해의 물가로 피하여 살았다.
즉 옛날의 사례벌(斯禮筏)의 공지(空地)였다.
사례벌은 긴 기(長旗)니,
광야(曠野)에 유배된 사람이,
아침에 내걸고, 저녁에 거둬들여, 먼곳에서 살면서 지키는 사람으로 하여금,
도망가지 않았음을 알게 하는 것이었다.
곧 육촌(六村)을 설치하고, 인접의 제족과 분담하여, 함께 지키되,
각각 한(韓)이라 하고, 보위(保衛)하였다.
한은 보위(保衛)의 뜻이다.
북의 마한(馬韓)과,
남의 변한(卞韓)과,
동의 진한(辰韓)의 삼한이 부족의 자치를 행하고,
선세(先世)의 도를 굳게 지켜,
이후 천년 사이에 기자의 법을 받아들이지 아니하고,
보위 방비하는 일에 전념하여, 거의 여력이 없었다.
이 때 하토(夏土)의 쟁탈의 바람이 점차 격심하여,
동요와 혼란이 삼한에 파급되므로,
육촌의 사람들이 서로 모의하고,
서쪽의 화가 점차 임박하여, 지켜내기가(保守) 장차 위태로우니,
어쩔 수 없이 통합 방비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고,
마침내 경계를 정하고, 요새(要塞)를 세워,
혁거세(赫居世)를 추대하여, 다스리는(統御) 일을 위임하였다.
여러 부족들 또한 수령을 추대하고 방비하게되니
남은 백제(百濟)요, 북은 고구려(高句麗)였다.
고구려가 곧 북쪽 성(北堡)의 땅을 회복하여,
서침(西侵)하는 사람들을 쫓아버리고, 그 지역을 완전하게 지켜내었다.
[세부해설]
1) 기자(箕子) : 은나라 주왕(紂王)의 숙부(叔父)이다.
B.C1122년 은나라가 망하자 주 무왕의 부름에 응하지 않고
조선(고조선)으로 왔다고 하는데, 조선땅에 살다 죽었다.
그가 살아 활동하던 산동성, 하남성 등은 조선땅이다.
- 기자무덤 : 산동성 조현(曹縣 : 산동성 하택시 조현)
- 기자사당 : 하남성 기현(淇縣 : 하남성 학벽시 기현)
'얼(뿌리를 찾아서) > 부도지(符都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9장(第二十九章) 백의제(白衣祭) (0) | 2018.01.26 |
---|---|
제28장(第二十八章) 선도산의 동신성모 (0) | 2018.01.26 |
제26장(第二十六章) - 천부 전수 7천년 (0) | 2018.01.26 |
제25장(第二十五章) - 전고자(典古者)의 고백 (0) | 2018.01.26 |
제24장(第二十四章) - 우를 처단하다 (0) | 201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