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한잔의 여유(餘裕)/비움과 채움 545

김치는 불로초 만병통치약

65세 이상은 정독하세요 °배추김치는 객담을 배출, 묵은지를 김치찌게로 먹으면 위염, 위궤양, 위암 막는데, 만병예방약. 숨가빠 2층도 오르기 힘든 사람은 동치미 몇 달 먹고 천식도 나았다고. 김치: 근육에 힘이 없고 무력증도 고친다. 천식은 몸이 산성화 되어서다. 정맥류나 치질치료에 동치미가 최고. 김치는 숙성시켜 먹어야 좋다. 멍이 잘 들면 간이 나쁜 사람. 간기능 떨어지면 혈소판감소증 백혈병이 잘 생긴다. 김치로 멍과 허혈을 없앤다. 근무력증의 원인은 설탕. 간이 산성화가 되면 근육이 약해진다. 시어빠진 김치국물을 먹으면 손톱, 인대, 연골, 혈관 튼튼, 피로물질이 안 쌓여 힘든 일해도 피곤도 안 느낀다. 김치 먹으면, 머리카락도 질겨지고, 발목도 튼튼, 머리카락 질겨지고 혈관도 튼튼해진다. 김치 ..

유심(唯心)

🎉유심(唯心) - 마음을 일으키면 발심(發心)이고 마음을 잡으면 조심(操心)이 되며 마음을 풀어 놓으면 방심(放心)이다 - 마음이 끌리면 관심(觀心)이고 마음을 편안케 하면 안심[安心]이며 마음을 일체 비우면 무심(無心)이다 - 처음 먹은 마음은 초심(初心)이고 늘 지니고 있는 떳떳한 마음이 항심(恒心)이며 우러나오는 정성스러운 마음은 단심(丹心)이다 - 작은 일에도 챙기면 세심(細心)이고 사사로움이 없으면 공심(公心)이며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참마음이 본심(本心)이다 - 욕망의 탐심(貪心)과 흑심(黑心)을 멀리하고 어지러운 난심(亂心)과 어리석은 치심(癡心)을 버리고, 애태우는 고심(苦心)을 내려 놓으면 하심(下心)이다 아~, 내 안에 파도 물결 같은 많은 마음(心)이 있구나! ㆍ ㆍ ㆍ ㆍ ㆍ ㆍ ㆍ..

세가지

누가 참 정리를 잘 했습니다. 꼭 한번 읽어 보시기를 권합니다. 1.^♡ 세가지 좋은 버릇 ^♡♡ 인생을 바꾸고 싶다면 세가지 버릇을 바꿔라. 첫째는 마음 버릇으로 부정적인 생각을 버리고, 항상 긍정적인 생각을 하라. 둘째는 말 버릇으로 비난과 불평을 삼가고 칭찬과 감사를 입버릇으로 만들어라. 셋째는 몸 버릇으로 찌푸린 얼굴보다는 활짝 웃는 사람이 되라. 맥없는 사람보다는 당당한 사람이 성공한다. 티벳 속담에 장수하며 잘사는 비결은 1)먹는 것은 절반으로~ 2)걷는 것은 두 배로~ 3)웃는 것은 세 배로~ 여행이 즐거우려면 세가지 조건이 맞아야 한다. 첫째, 짐이 가벼워야 한다. 둘째, 동행자가 좋아야 한다. 셋째, 돌아갈 집이 있어야 한다. 이 세상 모든 것들은 여기 사는 동안 잠시 빌려 쓰는 것이다...

예쁜 하루

👨‍👩‍👦 사람을 좋아하고 만남을 그리워하며 작은 책 갈피에 끼워 놓은 예쁜 사연을 사랑하고 살아있어 숨소리에 감사하며 커다란 머그잔에 담긴 커피 향처럼 향기로운 아침이 행복 합니다. 어디서 끝이 날지 모르는 여정의 길에 이야기할수 있는 사람이 있어서 좋고 말이 통하고 생각이 같고 눈빛 하나로 마음을 읽어주는 좋은 친구가 있어 행복합니다. 녹슬어 가는 인생에 사랑받는 축복으로 고마운 사람들과 함께하는 음악처럼 흐르는 하루가 아침을 볼 수 있어 행복하고 꿈이 있어 행복하고 사랑을 베풀수 있어 행복하고 기쁨도 슬픔도 볼 수 있어 행복하고 사랑의 기쁨도 모두 다 살아있기에 누릴수 있는 행복이고 오늘도 안부를 전할수 있어 감사하고 행복합니다. 오늘도 행복하시고 감사하는 하루 보내세요!

마음에 복이 있어야 복이 옵니다

★ 마음에 복이 있어야 복이 옵니다 ★ 나는 돈복도 자식복도 없어 혹시 이런 한탄을 해보지 않으셨는지요? 우리는 수많은 복을 바라며 삽니다. 잘살기를 바라고 호의호식하기를 바라고 좋은 여자 남자 만나 잘살기를 바라고 건강하기를 바라고 공부 잘하길 바라고 좋은 학교에 좋은 직장 얻기도 바라고 사함의 바람은 끝이 없습니다. 그러나 마음먹은 대로 된다는 말처럼 자기가 가진 마음만큼 더도 덜도 아닌 그만큼 살게 되어 있습니다. 바로 지금 사는 모양이 자기 마음의 표상인 것입니다. 자기 마음에 근면함을 가지고 있으면 근면하게 살 것이고 자기 마음에 게으름이 있으면 게으르게 살 것입니다. 똑같은 일이라도 사람의 마음과 잘 조화하면 잘될 것이고 융통성이 없으면 잘 안될 것입니다. 행동하는 것, 상대를 대하는 것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