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뿌리를 찾아서)/부도지(符都誌) 73

징심록추기(澄心錄追記) 제7장(第七章) 제4절 백결(百結) 선생(先生)

[원문] 第四節 訥祗王兄弟 聞公之死 悲痛至極 封公寧海君 눌지왕형제 문공지사 비통지극 봉공녕해군 公之夫人金氏聞公死 率三娘 登鵄述嶺 공지부인김씨문공사 솔삼낭 등치술령 自製鵄述歌 望哭東海自盡而死 자제치술가 망곡동해자진이사 長女阿奇三女阿慶 亦殉父母而死 장녀아기삼녀아경 역순부모이사 母女之身化爲三體神母石像 모녀지신화위삼체신모석상 次女阿榮 爲家事强生 養育五歲男弟 차녀아영 위가사강생 양육오세남제 是爲百結先生文良公也 시위백결선생문량공야 訥祗王聞而甚悲 使未斯欣 娶阿榮而慰之 눌지왕문이심비 사미사흔 취아영이위지 百結先生 長而大成 暫立於慈悲王朝 仍卽辭歸 不事世業 백결선생 장이대성 잠립어자비왕조 잉즉사귀 불사세업 彈琴修證 自行先世之道 遂晦跡不現云 탄금수증 자행선세지도 수회적불현운 [해설] 제4절 눌지왕 형제가 공(公)의 죽음을 ..

징심록추기(澄心錄追記) 제7장(第七章) 제3절 제상공이 고구려와 왜국 왕에게 부도의 일을 거론하다

[원문] 第三節 訥祗王 登位 常以二弟之事傷心不能勵政 눌지왕 등위 상이이제지사상심불능려정 於是 堤上公慨然請行 出於高句麗 言王以符都之事曰 어시 제상공개연청행 출어고구려 언왕이부도지사왈 一根之裔 何有是事 一言而還卜好及歸 일근지예 하유시사 일언이환복호급귀 不入其門而直出於倭國 夫人金氏聞而追至 불입기문이직출어왜국 부인김씨문이추지 公 已乘船搖手作別 夫人亦勵之 공 이승선요수작별 부인역려지 公 已入倭國 知其言之不容 假稱反者歸化 공 이입왜국 지기언지불용 가칭반자귀화 留連歲餘好行船遊 一日 囑未斯欣潛歸 유연세여호행선유 일일 촉미사흔잠귀 斯欣言與公同歸 사흔언여공동귀 公曰公子歸則事成 何期雙全而危其成事乎 공왈공자귀칙사성 하기쌍전이위기성사호 遂泣別 優遊船中 使倭人勿疑 俟斯欣遠去 乃獨歸舘舍 倭主始知見欺而怒 수읍별 우유선중 사왜인물의 ..

징심록추기(澄心錄追記) 제7장(第七章) 제2절 제상공이 눌지왕을 세우다

[원문] 第二節 新羅奈勿王時朴堤上公 以祗摩王之高孫 經寶文殿大夫 신라내물왕시박제상공 이지마왕지고손 경보문전대부 爲鄕里歃良州(梁山)干 築澄心軒 辨證細理 述始原傳來之史曰澄心錄 위향리삽량주(양산)간 축징심헌 변증세리 술시원전래지사왈징심록 時 奈勿王薨 三王子年少 시 내물왕훙 삼왕자연소 次家弟實聖王 脅威自立 차가제실성왕 협위자립 奈勿王長子訥祗 豫察來變 佯爲訥言作痴 放浪市肆 내물왕장자눌지 예찰래변 양위눌언작치 방랑시사 實聖王 置之度外 其二弟卜好 質放高句麗 末斯欣 質於倭國而除之藺後慮 실성왕 치지도외 기이제복호 질방고구려 말사흔 질어왜국이제지이두후려 至是 堤上公 以先世傳統 乃立言而擧實聖之不當 지시 제상공 이선세전통 내입언이거실성지부당 於是 世論 潝然 申自天裵仲良等六臣 辭去 어시 세론 흡연 신자천배중량등육신 사거 實聖王 ..

징심록추기(澄心錄追記) 제7장(第七章) 제1절 백결(百結) 선생과 가문의 전설 금척(金尺)

[원문] 第七章 第一節 澄心錄添綴之別冊金尺誌 亦堤上公之所述歟 或後人之記錄歟 징심록첨철지별책금척지 역제상공지소술여 혹후인지기록여 文義則相連於澄心錄而別冊添綴者何耶 문의칙상련어징심록이별책첨철자하야 若非堤上公之所述 必是百結先生之追補者矣 약비제상공지소술 필시백결선생지추보자의 公家傳說多有關於金尺 공가전설다유관어금척 而余夙聞五臺之老釋者 與史乘野傳 大同小異故 이여숙문오대지노석자 여사승야전 대동소이고 今記其槪要於下 금기기개요어하 [해설] 1절 ‘징심록’에 덧붙인 별책도 역시 제상공(堤上公)이 쓴 것인가. 혹 뒷사람의 기록인가. 글의 뜻은 ‘징심록’과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별책으로 덧붙인 것은 무슨 까닭인가. 만약 제상공(堤上公)1)이 지은 것이 아니면 반드시 백결(百結) 선생2)이 추가하여 보충한 것일 것이다. 공의 가..

징심록추기(澄心錄追記) 제6장(第六章) 허실견백(虛實堅白)에 대한 고금(古今)의 논급(論及)

[원문] 第六章 凡事物 皆有表裏 裏密則充實而疏則空通 범사물 개유표리 리밀칙충실이소칙공통 表密則色聚而疏則衰虛 此虛實空色之交推也 표밀칙색취이소칙쇠허 차허실공색지교추야 且實密則堅固而疏則氣冲 色密則質造而疏則還白 此氣質堅白之交推也 차실밀칙견고이소칙기충 색밀칙질조이소칙환백 차기질견백지교추야 故色質堅實者 有相而足徵 虛白氣空者 無名而可朕 고색질견실자 유상이족징 허백기공자 무명이가짐 情生於有相 金石水土飛潛動植之形 徵焉 정생어유상 금석수토비잠동식지형 징언 道生於無名 隱現生滅消長盛衰之勢朕焉 宇宙萬象乃成也 도생어무명 은현생멸소장성쇠지세짐언 우주만상내성야 道者 一軌大同 形者 千態相殊 도자 일궤대동 형자 천태상수 於是 聖人作調通空之管音 察其大同之情 어시 성인작조통공지관음 찰기대동지정 準虛實之尺度 審其相殊之勢 준허실지척도 심기상수..